1930년대 대공황의 여파로 보호무역주의가 심화된 끝에 제2차세계대전이 발발하게 되자 참혹한 전쟁의 재발을 막기 위해 탄생한 국제기구가 바로 국제연합(UN)과 국제통화기금(IMF)이다.
국제기구를 통해 세계평화를 유지 관리하려는 다자주의의 결과물인 UN과 IMF는 당시 경제대국이었던 미국과 영국이 주도했다.
이후 영국과 유럽 각국은 유럽경제공동체(EEC), 유럽공동체(EC)를 거쳐 유럽연합(EU)이라는 새로운 다자주의 체제를 탄생시켰다.
그러나 유럽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저성장으로 소득이 정체되고 기득권층 위주의 정책 탓에 중산층의 경제적 위기감이 확대되었다.
여기에다 사회 양극화 심화 및 이민자 급증과 다문화주의에 대한 반감으로 민족주의적 경향마저 커져왔다.
70여 년 전 다자주의 탄생의 산파 역할을 담당했던 영국이 지난 6월 말 국민투표를 통해 EU에서 탈퇴(브렉시트)하는 독자 노선을 택한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라고 할 수 있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의 정치적 계산착오로 브렉시트 사태가 현실화되면서 영국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자 최근 영국 파운드화는 1985년 이후 최저 수준인 파운드당 1.28달러대(브렉시트 직전 1.49달러)까지 떨어졌다.
여기에다 영국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들이 브렉시트 영향으로 영국을 떠날 것이란 우려에 따른 영국 부동산펀드에서의 대규모 환매사태는 전세계 금융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만일 브렉시트로 인한 시장불안이 계속되고 글로벌 무역위축이 실물경제 둔화로까지 이어진다면 보호주의 경향이 높아지고 각국이 통화가치를 하락시키려는 유혹에 빠질 수도 있다.
브렉시트가 한국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한국의 경우 영국과의 직접 교역비중이 높지는 않지만 유럽과의 교역 규모가 큰 중국을 통한 부정적 영향의 전염 가능성은 우려 요인이다.
지금도 줄어들고 있는 세계교역량마저 위축된다면 교역의존도가 높은 우리경제의 주름살은 더 깊어질 수도 있다.
최근 우리경제는 조선과 해운업 구조조정이라는 난제를 안고 있는데다 브렉시트로 인한 환율관리 측면에서의 불확실성까지 마주하게 되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냉철한 자세로 글로벌 경제의 향방을 주도면밀하게 모니터링하면서 대응책을 마련해가야 하겠다.
또한 1천200조원씩을 넘어선 가계부채와 국가부채는 각각 GDP(국내총생산)의 88%에 육박하면서 경기회복의 위협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높아질 때는 모든 경제주체들이 부채를 줄이고 수입과 지출구조를 내실화하는 등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통한 체질개선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