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5일은 광복 71주년이 되는 날이다. 그런데 지금까지도 일제 잔재를 털어내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매년 삼일절과 광복절, 또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일본군 위안부 망언 등 사건이 벌어질 때마다 일제 잔재를 청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그런데 매번 그 뿐이다. 게다가 일본이 아닌 국내에서도 일본의 강제 식민 통치행위를 옹호하는 발언을 하는 친일 집단과 일본 극우파의 주장에 동조하는 얼빠진 인물들도 있다.
일본에 맞서 국가를 지키느라 재산과 생명을 아낌없이 바친 독립운동가와 그 후손 1천115명 가운데 75%가 월소득 200만원 미만이라는 조사가 얼마 전에 나온 적이 있다. ‘독립운동을 하면 삼대가 망한다’는 말은 사실이었다. 반면에 친일파 후손들은 당시 조상들의 축재를 바탕으로 정·재계와 심지어는 학계까지 진출해 떵떵거리며 살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따라서 이런 현실에서 일제 잔재 청산이 쉬울 리 없다. 하지만 해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해방이다.
현재 일제 잔재는 우리 사회 곳곳에 남아 있다. 건축 현장에서부터 지식인들의 집단인 언론·출판계까지, 학교 현장에서부터 군대까지, 심지어는 장례식장에까지 뿌리 내리고 있다. 모두 뿌리를 뽑아야 하겠지만 그 중 가장 먼저 청산해야 할 곳은 당연히 학교 교육현장이다. 그래서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이 10일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2017년 광복 71주년을 맞아 학교 내 일제강점기 잔재를 청산하겠다’고 밝혔다. 이 교육감은 학교 안에 관행적으로 남아 있는 일제의 학교 문화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예를 들자면 조회대와 애국조회, 훈치사, 전체 차렷과 경례 등이다. 이런 학교 문화가 일제시대 권위적이고 중앙 중심적인 군사문화의 잔재로 청산의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일재 잔재가 남은 학교 이름을 지역과 학교 구성원 의견을 수렴, 자율적으로 바꾸도록 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학교명에 관한 근거와 유래를 전수 조사한 결과 아직도 일제 때 방위(方位)에 따른 학교 이름이 많다고 한다. 이를 지역 특성과 역사를 반영하고 교육적 의미를 지닌 이름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방위작명법’은 식민통치 편의를 위해 학교 이름에 동서남북의 방위명을 사용한 것이라고 한다. 일제 잔재 청산은 구호로만 외쳐서는 안된다. 정부가 체계적으로 나서야 한다. 아울러 식민사관에 물들지 않은 바른 역사학자과 국민의 관심과 노력도 병행돼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