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고양에 서울 기피시설 웬 말이냐”

민경선 도의원, 은평구청 앞서 ‘사업 백지화’ 1인시위
은평구, 폐기물처리시설 추진…이달 중 용역결과 나와
삼송지구서 50∼200m 거리…주민 직접적인 피해 예상

 

서울시 은평구가 추진 중인 광역 폐기물처리 시설 건립 사업 백지화를 주장해 온 민경선 경기도의원(고양3·더민주)이 4일 출근길 1인 시위를 통해 강력한 반대 의사를 행동으로 나타냈다.

민 의원은 이날 은평구청 앞에서 ‘고양시 앞마당에 은평구 기피시설이 웬말이냐’는 피켓을 들고 “이미 벽제 화장장, 서대문구 음식물 처리시설, 하수·분뇨·슬러지 처리시설, 마포구 재활용 선별시설 등 받아줄 만큼 받아주고 참을 만큼 참았다”면서 “언제까지 서울의 기피시설을 고양시로 넘기려는가”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은평구는 진관동 76-20 일원에 은평구는 물론 마포구와 서대문구의 폐기물까지를 처리 할 수 있도록 1만1천534.1㎡ 규모의 광역 폐기물처리시설 건립을 추진중이며 이달 말 용역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특히 해당 부지는 행정구역상 은평구지만 고양시 방향으로 길쭉하게 튀어나온 형태로, 고양시 삼송지구(2만3천729세대)와 오는 2018년 입주 예정인 지축지구(8천685세대)로 부터 50~200m 가량 떨어진 지역이라 시설이 완공되면 주민들에 대한 직접적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민 의원은 “해당 시설은 은평·서대문·마포구가 재활용·음식물쓰레기·소각장 시설을 각각 빅딜형식으로 나누는 방식”이라며 “서울시 3개 구의 광역시설 빅딜 잔치에 고양시만 전적으로 피해를 보는 상황이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난지물재생센터(대덕동) 내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을 운영 중인 서대문구는 은평·마포구의 물량까지 받기 위해 처리 시설의 용량 확대를 추진 중이다”라고 지적하고 “앞으로 (이 모든 문제를)상송지구, 동산취락지구 주민은 물론 고양시민, 더 나아가 은평구 뉴타운 주민들과 함께 강력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현재 고양시 관내에 위치한 서울시의 기피시설로는 시립묘지(벽제동), 승화원, 제1·2추모의집(대자동), 마포구 재활용 선별시설, 난지물재생센터(하수·분뇨·슬러지), 서대문구 음식물 처리시설(대덕동) 등이 있다.

더욱이 이들 시설의 운영주체가 서울에 연고를 두고 있다보니 관련 편익은 서울시민과 관련 지자체에 돌아가는 반면, 지가하락, 교통체증, 소음 및 악취 등은 고양시민들이 짊어지고 있다는 불만과 지적이 10~40년 동안 지속돼 오고 있다./고양=고중오기자 gjo@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