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소규모학교 통폐합 추진계획을 재점검하고 여론 수렴을 거쳐 대상학교를 조정하기로 했다.
경기도교육청 적정규모학교육성추진단은 25일 “내년 2월까지 통폐합 대상학교 또는 지역교육청을 방문해 통폐합에 대한 여론을 수렴해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도교육청은 ‘2016∼2020학년도 적정규모학교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 교육부가 제시한 소규모학교 기준(도심 기준 학생 수 300명 이하)에 해당하는 도내 233개 학교 중 학생 수 감소 추이, 지역 여건 및 교육환경 등을 고려해 도내 84개 학교를 통폐합 대상 학교로 선정했다.
그러나 이들 학교 중 모범혁신학교 등 학교 규모는 작지만, 경기 혁신교육을 대표하는 학교들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가 이를 비판하는 성명을 내는 등 도교육청의 통폐합 선정 기준을 놓고 논란이 일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 관계자는 “우리 사업과 관련한 여러 의견이 제기된 만큼 통폐합 대상학교 및 지역의 의견을 모두 들어본 뒤 내년 4월쯤 ‘2017∼2021 적정규모학교 육성사업 계획’을 세울 것”이라며 “통폐합 대상학교 명단도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오는 26일 중장기 통폐합 대상인 가평 율길초에서 학부모 설명회를 하는 등 내년 2월까지 지역교육청과 함께 통폐합 대상학교 교장 및 학부모를 만나 찬반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또한 반대 의견이 많은 경우 추진 일정을 변경하거나 통폐합 대상 명단에서 제외할 방침이다.
도교육청 적정규모학교육성추진단 관계자는 “적정규모학교 육성정책은 학생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학교를 조정하는 것”이라며 “교직원과 학부모 의견 청취가 이 사업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