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경기도내 각 가정에서 배출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해마다 증가해 쓰레기줄이기 노력이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340여만 가구에서 배출한 음식물 쓰레기는 총 2천326t으로 전년 2천307t과 비교해 1% 가량 늘었다.
또 2000년 2천150t, 2001년 2천176t으로 도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가 해마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쓰레기줄이기 캠페인에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이 중 음식물쓰레기 처리실태를 보면 자원화는 1천550t(67%) 매립 386t(16%) 소각 390t(17%)으로 발생량의 33%인 760t이 매립되거나 소각돼 2차 환경오염유발이 심각한다는 지적이다.
도는 음식물 쓰레기가 늘어난 것은 인구가 1년사이 30여만명이나 증가했고 그동안 음식물쓰레기 공공처리시설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결국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처리시설 88개소 중 공공시설 16개소(910t) 민간시설 72개소(2천100t)로 공공자원화시설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올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총 110억원을 들여 수원, 안산, 하남, 오산에 하루 315t을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설 4개소를 설치하고, 12억원을 투입해 음식물쓰레기 전용수거차량 17대를 도입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음식물쓰레기가 극히 늘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1년동안 인구가 30만여명이나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공공처리시설을 확충하는 한편 전용수거차량을 다량 도입해 쓰레기수거와 재활용률을 높일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