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설]설 명절 부정식품 유통 적극 단속해야

경제 불황의 그늘은 이번 설 명절 유통업계에도 드리워져 있다. 서민들의 체감 경기가 바닥으로 내려앉으면서 지출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설 용품 물가마저 치솟아 이래저래 유통업계의 이번 설 매출은 최악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00.79였다 이는 작년 11월(99.97)보다 0.8% 상승한 것으로 2015년 7월 이후 17개월 만에 최고치다. 특히 무(177.2%), 배추(103.9%), 냉동오징어(73.3%) 등의 생산자물가는 1년 전보다 크게 올랐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달걀이다.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로 가격이 급등해 외국에서 수입까지 하고 있지만 가격은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 한국은행은 최근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의 경제적 영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달걀 가격은 산란계 부족 등으로 올해 상반기까지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래서 이번 설 음식상엔 계란이 들어가는 전 종류가 줄어들 것 같다는 소리도 들린다.

얼어붙은 소비심리로 인해 서민들이 이용하는 전통시장이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손님은 오고 있지만, 막상 지갑을 쉽게 열지 않는다고 한다.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마찬가지다. 대형마트와 백화점의 설 선물세트 매출이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고 한다. 게다가 ‘김영란법’이라고도 불리는 부정청탁금지법의 영향으로 가격이 높은 축산물이나 과일, 굴비 등의 선물세트는 판매가 감소했다. 이른바 ‘소비절벽’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해 소비심리를 회복시키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 와중에 불량 설음식을 제조해 유통하고 있는 자들도 있다. 유통기한이 경과하거나 수입신고를 하지 않은 재료로 설음식을 만든 업체가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에 의해 무더기로 적발된 것이다.

도 특사경은 최근 도내 706개 식품 제조·유통업소를 점검했는데 관련법을 위반한 업체가 무려 124개나 됐다고 한다. 밀수 대추채로 대추경단을 제조하거나 유통기한이 2년~4년이나 지난 식재료를 사용하고, 표시사항이 누락된 액란(껍질을 제거한 액체상태의 계란)을 사용한 업체도 있었다. 도 특사경은 명절엔 부정식품 유통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관련 상품이 짧은 기간에 대량으로 생산·판매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가뜩이나 힘든 살림살이에 휘청거리는 서민들에게 불량식품까지 팔아서야 되겠는가. 불량식품에 대한 엄한 처벌이 필요하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