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배치와 함께 중국의 경제보복 조치가 가시화되고 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3일 정부-자유한국당 고위당정회의에서 “사드 배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으로부터 국가안위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위적 방어조치로, 어떠한 제3국도 지향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지만 중국은 그렇게 여기지 않는다. ‘선전 포고’라고 생각한 듯 예민하게 반응하면서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롯데그룹이 성주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부지를 제공한 이후 중국 정부의 보복조치는 강도를 더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롯데는 물론, 국내 관광업계, 면세점과 화장품업계의 피해가 클 것이란 우려가 생긴다. 실제로 중국에서는 이미 롯데 제품 불매 운동이 시작됐다. 또 유명 음악 사이트에서 한국 음악 차트만 삭제되고, 주차된 한국산 자동차를 벽돌로 내리치는 등의 폭력 행위도 일어났다. 중국정부가 확대시키는 한한류(限韓流)의 큰 피해자 가운데 하나는 국내 관광업계다. 중국정부는 지난 2일 밤 베이징 일대 여행사를 소집해 한국행 여행 상품의 전면적인 판매 중단을 구두로 지시했다고 한다.
따라서 앞으로 중국인들은 한국행 단체관광과 여행사를 통한 자유여행이 불가능하다. 당연히 국내 관광업계는 초긴장 상태다. 왜냐하면 여행사를 통해 들어오는 중국인 관광객이 60∼70%에 달하기 때문이다. 한국 관광업계에 악재가 생겼다. 여행사뿐만 아니다. 호텔 등 숙박업소, 면세점, 식당 등이 연쇄적으로 타격을 입을 것이다. 그런데 중국의 이 같은 사드 보복에 우리나라는 속수무책이다. 이미 경제 등 각 부문에 대한 보복이 예상됐음에도 박근혜 정부는 안이한 자세를 보였다.
지난해 “한·중 관계가 고도화돼 쉽게 경제 보복을 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우려의 소지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는 황 대행의 발언과 “중국의 경제 보복은 중국 지도부의 한반도 정책과 배치되는 이야기다. 저는 지금의 중국 지도부가 정경 분리 원칙하에 신중하게 움직일 것으로 알고 있다”는 정진석 당시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말이 그것이다. 어이없게도 국가를 책임지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상황인식이 이랬다. ‘고도화된 한·중 관계’라서 지금처럼 무차별 경제 보복을 한단 말인가. 정부는 초기에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고 제대로 된 대책을 세웠어야 했다. 그걸 못하고 무기력하게 대응하고 있는 나라에 사는 우리가 참 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