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경기도육감은 8일 “국정 역사교과서 하나만으로도 대통령의 결정적인 탄핵사유가 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교육감은 이날 오전 기자간담회에서 “교육부가 헌법을 왜곡해 교과서를 만들고, 연구학교를 지정하고, 그것도 모자라 교과서를 보조자료로라도 사용하라고 학교에 직접 공문을 보내 학교장을 압박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민들과 학교 현장에 의해 폐기된 것과 마찬가지인 국정 역사교과서를 교육부는 아직도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면서 “연구학교 신청 문제와 더불어, 국정 역사교과서를 보조교재로 사용하기 위해 직접 공문을 배부하는 등 학교 현장의 혼란을 일으키는 교육부는 과연 교육을 말할 자격이 있는지 의심스럽다”며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비판했다.
특히 그는 “국정 역사교과서를 보조교재나 참고자료로 사용하겠다고 교육부에 신청한 학교들이 있었지만 이날 현재 모두 취소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대부분이 사립학교 였으며 이들은 국정교과서를 도서관 도서로 활용하거나 검정교과서와 비교해 보려고 보조교재를 신청했다가 모두 스스로 신청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이어 “촛불집회에 연인원 1천500만 명이 넘게 참여했다.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민주주의의 정신과 실천을 보여준 시민혁명이었다”며 “대통령 탄핵, 촛불집회 속에서 대한민국은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민주주의의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제, 교육과 학교현장은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어떻게 학교현장에 정착시킬지, 차분하게 고민하고 성찰해야한다”고 말했다.
또 이 교육감은 “민주주의는 어떤 이념이 아니라 우리 생활 속에 펼쳐지는 삶의 과정이고 절차이며 하나의 새로운 가치가 됐다”고 말하며 민주주의시민교육을 학교현장에 정착시키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제 교육과 학교현장은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어떻게 학교현장에 정착시킬지 차분하게 고민하고 성찰해야 하며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들어 가야한다”며 “초·중등교육에서 올바른 민주주의 교육을 받은 세대가 미래사회에서 연대와 협력을 이끌어 갈 것이다. 학생들이 교실 안에서 선생님과 친구들을 어떻게 만나고 관계를 맺을지와 민주주의의 실천을 경험하는 장이 되도록 학교를 어떻게 만들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도교육청은 학교민주주의가 학교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작동될 수 있도록 민주시민교육을 새롭게 디자인하고 실천해 나가는 한해를 만들어 가겠다”며 “민주시민, 평화시민, 세계시민 교육을 학교현장에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