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에 설치된 소위 ‘감화원 시설’인 선감학원이란 것이 있었다. 현재 안산시 선감동의 섬인 선감도에 위치해 있다. 섬이지만 지난 1987년부터 시작된 방조제 공사로 대부도까지 육지와 연결돼 있다. 선감학원은 일제강점기인 1941년에 건립돼 1942년부터 8~18세 아동과 청소년들이 강제 입교됐다. 조선총독부는 부랑아를 감화시키고 태평양 전쟁의 전사를 확보한다는 명분으로 아동·청소년을 강제 수용시켰다. 굶주린 상태에서 노역을 강제하고 수시로 학대, 고문 등 폭력을 사용해 인권을 유린했다. 다시 말하자면 어린 소년들을 전쟁의 소모품으로 이용하기 위한 시설이었다.
인권유린은 일제로부터 해방이 된 이후 1982년 이 시설이 폐쇄될 때까지도 여전히 계속됐다. 일제에서 해방됐지만 이번에는 우리 공권력이 그런 일을 자행했다. 지난해 5월 25일자 본란에서도 밝혔지만 선감학원 원생들은 교육은커녕 노예와 다름없는 혹독한 노동착취에 시달렸으며 밤마다 곡괭이 자루로 맞았고 상습 성폭행에 시달렸다고 한다. 견디다 못해 탈출하다 물살에 휩쓸려 죽은 아이들도 많았으며 붙잡힌 아이들은 하반신을 못 쓰게 만들거나 죽을 때까지 때렸다고 한다. 이렇게 사망한 아이들은 인근에 암매장했는데 지표투과레이더로 지하상태를 확인한 결과, 암매장된 것으로 보이는 물체가 다수 포착되기도 한다. 선감도에서 죽은 아이가 300명이 넘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충격적이다. 이처럼 이 천인공노할 일이 국가에 의해 저질러졌다. 그럼에도 손해배상은 고사하고 진상 규명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늦기는 했지만 경기도가 선감학원 피해자에 대한 지원사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10일 ‘경기도 선감학원사건 피해지원 및 위령사업위원회(이하 위원회)’를 개최하고 5월부터 피해자 지원을 위한 연구용역을 착수하기로 한 것이다. 연구용역은 오는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 간 진행될 예정이다.
용역은 우선 유해 매장지 기본현황을 조사하고 추정지를 선정하게 된다. 그 이후에 유해 발굴 방법과 유해 발굴 후 감식과 보존대책을 수립하고 발굴 후 추모공원 조성 등 희생자 지원 방안 등을 분석한다. 오는 5월 27일에는 희생자와 생존자를 위한 위령제도 열린다. 선감원생의 혼령을 바다에서 건져오는 ‘혼맞이 길놀이’, 선감학원 피해자 ‘추모 음악회’ 등으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한다. 희생자들의 해원(解寃)을 위한 유해발굴과 추모 사업들이 차질 없이 진행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