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인양작업이 침몰 참사가 발생한 지 1천91일 만에 모두 완료됐다.
세월호 육상거치 작업은 11일 오후 3시58분쯤 마쳤으며, 세월호 현장수습본부는 세월호 거치가 완료됨에 따라 미수습자 9명을 찾기 위한 수색을 다음주부터 벌일 방침이다.
이철조 세월호 현장수습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11일 오전 10시20분쯤 세월호가 고정된 리프팅빔을 받침대 위에 내려놨으며, 세월호 밑과 받침대 사이에서 특수이송장비인 모듈 트랜스포터(MT) 600축을 모두 빼내 작업을 완료했다”고 말했다.
이어 “내일 세월호 외부상태를 확인 후 모레부터 세척, 방역, 위해도 및 안전도검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월호는 현재 목포신항 철재부두 위 바다와 수직 방향으로 안착돼 있으며 세월호 객실 부분은 자동차 부두를, 선체 바닥부분은 석탄부두를 바라보고 있다.
해수부는 원래 부두 끝에 세월호를 바다와 평행하게 거치하려 했으나 더이상 움직이는 것은 선체변형의 위험성이 있다고 고려해 그대로 거치했다는 설명이다. 반잠수식 선박 위에 있던 받침대 3줄을 가져와 세월호를 들어 올리고 있는 MT 사이에 집어넣은 방식이다.
세월호 육상거치 완료와 함께 세월호 현장수습본부는 미수습자 9명을 찾는데 주력할 계획으로, 구체적인 수습·수색계획을 마련해 다음주부터 본격 착수한다.
이와 함께 세월호 수색 작업자들이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선체구조에 대한 보강작업이 진행되며, 세월호 침몰 해역 해저면 수색작업도 이어진다.
앞서 지난 9일부터 시작된 수중수색에서 해수부는 미수습자 유실 우려 속에 침몰 해저 주변에 가로 200m, 세로 160m, 높이 3m의 철제펜스를 설치했다.
잠수사들은 두 달간 철제펜스 내부 3만2천㎡를 40개 구역으로 나눠 수색한다.
/신병근기자 sb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