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3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아침시산책]신목(神木)

 

신목(神木)

                                    /손세실리아



동백나무를 마당에 들였다

외래종 색색 겹꽃이 아니라

토종 빨간 홑꽃이란 농장주 말에

흥정도 않고 데려온 게다

드센 해풍이 걱정됐지만

별 탈 없이 자릴 잡고 꽃눈도 실해

한시름 놓던 중인데 갑자기

봉우리인 채로 꿈쩍 않는다

나무의 속내를 알 바 없으니

기다릴밖에 지켜볼밖에

그러길 얼마나 흘렀을까 드디어

만개했다 헌데 황당하게도 희다

집주인의 비밀스런 사랑※을 눈치채곤

몇 날 며칠 끙끙 앓다

백지장처럼 창백해져

결국 폭로를 감행한

※ 조선흰동백의 꽃말


 

시인을 2년 전 제주에서 어색하게 조우한 기억이 난다. 인동초 시나리오 작업으로 내려앉은 제주도가 회억의 시간들로 아련히 기억에 찾아든다. 봄이 옷을 입고 종종걸음으로 오는 시간, 눈 속에서 향기를 피우는 매화를 앞세우고 봄의 전령사들이 오고 있다. 빨간 꽃을 기대하며 심은 동백나무에서 흰 꽃이 피었다. 신과 나무가 시침 뚝 뗀 채 한통속이 되어 지켜보았던 걸 화자만 모르고 있었나보다. 어쩌면 우리도 살아가면서 전혀 의도하지 않고, 뜻하지 않았던 일을 만나기도 할 것이다. 애면글면, 그렇게 꽃이 피고 봄이 오고 우리들 삶도 흘러가는 중이다. 세상사가 자기 노력으로 다 해결되지는 않는다. 꽃말처럼 세계관이 성숙했을 때 뜻이 맞는 사람이 진짜 친구라고 해도 신비스런 동경들이 일어난다. 시인의 인연처럼 살며 사랑하며 배우는 일이다. /박병두 문학평론가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