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가 경기도 맞춤형 정비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오매장터 주거환경관리사업’이 신·구 관련 단체들의 고소·고발로 인해 민·민 갈등으로 번지고 있는 추세다.
7일 오산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3년 경기도 맞춤형정비 2차 공모사업으로 선정돼 오는 2018년까지 국·도·시비 등 총 51억 원(국 25억 원, 도 7억8천만 원, 시 18억4천600만 원)을 투입, 오산동 354-4번지 일원에서 ‘테마가 있는 오매장터 만들기’란 명칭으로 ‘오매장터 주거환경관리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기존 주민운영위원회와 조합 결성을 앞둔 사회적 협동조합원들이 운영권을 놓고 각종 비방 등은 물론 고소·고발까지 하면서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주민운영위의 일부 임원들이 ‘이장희 거리’ 조성과 맞물려 주변 상가와 부지를 매입한 사실이 드러나 투기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주민운영위 관계자는 “개인적 부동산 매입은 사실이나 상가매입은 개인적인 건물이전 문제이고 또 다른 임원의 건물매입도 주변 부지를 팔아 매입한 건물로 극히 사적인 부동산 매입일 뿐”이라며 “이는 반대세력들이 모함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며 오매장터 조성사업과는 무관하다”고 일축했다.
이와 함께 현재 국토교통부 심의를 기다리고 있는 사회적 협동조합에 대한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협동조합을 결성하고 있는 C씨가 오산시 요직을 맡고 있는 협의회장의 아들로 이를 배경으로 사업운영권을 독점하려는 의도라는 것.
이 같은 주장을 제기한 주민운영위 관계자는 “7명의 조합원 중 2명의 외지인들이 유입돼 사업본질을 퇴색시키고 있다”며 공무원 연루설까지 주장하고 있다.
더욱이 사회적 협동조합원 일부가 주민운영위 간부의 사업비 횡령 의혹을 제기하자 해당 간부는 곧장 허위사실 유포와 명예훼손 혐의의 고소장을 제출,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게다가 해당 사업의 시행주체인 시는 ‘양측이 알아서 합의하라’는 식으로 수수방관을 하고 있어 주민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이와 관련 시 측은 “주민협의체인 조합과 운영위원회 중심으로 빠른 시일 내에 사회적 협의를 거쳐 대안을 마련할 방침이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같은 갈등은 향후 사업 자체에서도 문제점이 드러날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지역의 한 인사는 “시 행정이 들쭉날쭉하면 행정에 대한 신뢰를 잃어버릴 수 있다”며 “민·민 갈등이 심화되기 전에 (시가)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 확정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오산=지명신기자 ms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