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 대선 승리로 9년 2개월여 만에 집권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16일 새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이번에 선출되는 원내 사령탑은 청와대와 함께 집권 초 국정의 동력을 불어넣고, 개혁입법 작업을 책임져야 한다는 점에서 어느 때보다 중요한 자리라는 평가가 나온다.
아울러 여소야대로 이뤄진 국회에서 당내 화합을 넘어 1당으로서 다른 정당과 협치의 틀을 구축해야 하는 만큼 통합형 리더가 절실하다는 의견도 있다.
일각에서는 어떤 원내대표를 선출하느냐에 따라 문 대통령 집권 초반 당·정·청의 관계가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민주당은 이날 의원총회를 열고 ‘제2기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김영춘 의원)’를 구성했으며, 위원회 논의 결과 16일 오전 10시 원내대표 경선을 치르기로 했다.
11일부터 후보자 등록 접수를 하며, 15일까지 선거운동을 할 수 있다.
당내에서는 차기 원내대표 후보군으로 김태년 의원, 우원식 의원, 홍영표 의원 등 3선 의원 3명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범주류로 분류되는 우 의원의 경우 당내 민생대책기구인 ‘을지로위원회’를 꾸준히 이끌어오면서 개혁성과 ‘뚝심’을 인정받았다.
김 의원과 홍 의원의 경우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 진영으로 분류된다.
김 의원의 경우 정치개혁특위 간사와 예결위원회 간사를 맡으며 협상력을 인정받았고, 홍 의원의 경우 국회 환노위원장으로 활동하며 가습기 살균제 문제 등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특히 일각에서는 의원들의 대결 양상을 ‘당·정·청 협력체계 강화’와 ‘다른 정당과의 협치’ 가운데 어느 쪽에 무게를 두느냐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어 눈길을 끈다.
친문 핵심으로 분류되는 김 의원과 홍 의원의 경우 문 후보와의 거리가 가까운 만큼 청와대와의 ‘핫라인’이 원활하게 가동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