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12일 경주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한 뒤 연달아 지진이 발생하면서 더 이상 한국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경기도와 가까운 충남 서해안 해역에서도 지진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5월 25일 충남 태안 서격렬비열도 서북서쪽 109㎞ 해역에서 규모 3.0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보다 앞서 지난 2014년엔 규모 5.1의 큰 지진이 감지되기도 했다. 경주 지진 이후 정부는 그간의 지진방재대책을 원점에서부터 재검토해 종합적인 개선대책을 마련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내진설계 공통기준을 마련하고 한반도 단층 조사 등 국가 지진방재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정부가 근본적이고 획기적인 지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잇따른 지진으로 인해 각 지방정부들도 지진비상이 걸렸다. 지진은 한반도 모든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진대책 재점검에 나서며 내진 보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자칫하면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큰 문제는 2008년 제정된 지진재해대책법에 따라 내진설계가 의무화되기 이전에 건축된 건물이다. 또 1988~2005년까지 지어진 3층 이상 5층 이하 건축물은 내진설계가 되지 않아 내진보강이 시급하다.
특히 병원, 학교 등 주요 건물의 내진설계가 기준에 모자라는 경우가 많다고 해 내진보강을 서둘러야 한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공공·민간건물을 막론하고 전체 조사를 실시해 현황을 점검한 뒤 대책을 마련하기 바란다. 경기도 역시 자체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도는 지난달 6일 경기도재난안전본부와 도내 17개 소방서에 조기경보시스템 설치를 마친 상태다. 지진 조기경보시스템은 기상청의 지진정보를 관공서나 학교 등 공공시설 내 설치된 지진경보장치로 전달해 방송하는 장치다.
그런데 경기도형 재난안전키트(비상물품세트)와 매뉴얼 등은 아직 준비되지 않았다고 한다. 재난안전키트는 지진 등 대형 재난발생시 72시간 생존보장을 위해 조명봉, 알루미늄 담요, 압박붕대 등 비상물품을 담은 세트로서 올해 3월 경기도주식회사를 통해 판매할 방침이었지만 실제 판매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재난안전 매뉴얼 역시 3월 출시 예정이었지만 남 지사의 지난달 18일 전면재검토 지시에 따라 올 하반기에나 출시될 것 같다고 한다. 도 관계자의 말처럼 신중하게 테스트·처리하는 것도 옳지만 언제 재난이 발생할지 모르는 일이므로 서두르는 것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