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설]파주서 발생한 AI, 방역시스템 최대한 강화해야

또 AI가 발생했다. 지난 2일 조류인플루엔자(AI)가 의심된다며 신고한 제주 농가가 3일 양성으로 확진된데 이어 부산 기장 농가도 4일 양성 판정을 받았다. AI는 경기도로도 넘어왔다. 그동안 ‘청정지역’이었던 파주시 법원읍 가금류 농장에서 간이검사 결과 AI 양성 반응이 나와 1천600마리를 살처분한 것이다. 파주지역에서 AI가 발생한 것은 지난 2011년 이후 6년 5개월 만이다. 파주 농장은 전북 군산의 종계농장에서 AI에 감염된 오골계를 들여왔다고 한다. 제주농가와 부산농가도 마찬가지로 군산 종계농장에서 오골계를 입식했다.

이처럼 AI감염 오골계는 경기도와 부산 제주 등 전국으로 팔려나갔다. 그리고 지금까지 AI사태에서 보았듯이 순식간에 전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왜 이런 우려를 하는가하면 그동안 AI나 구제역 할 것 없이 정부의 대책에 신뢰가 가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만 해도 그렇다. 정부는 지난달 30일 AI 위기경보를 ‘경계’에서 ‘관심’으로 하향 조정하고, 특별방역대책기간도 해제키로 결정했다. 그런데 겨우 3일이 지나며 AI가 재발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AI가 철새에 의해서 옮겨진다는 정부의 주장과 달리 우리나라 가금류 농장에는 AI 바이러스가 잔재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한다. 즉 우리나라는 이미 AI 상시 발생 국가라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이나 차량을 통해 언제 어디에서 발생할지 모른다는 것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AI를 ‘겨울 전염병’정도로 여기고 특별방역대책기간을 해마다 10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로 한정해 놓고 있다. 연중 더운 날씨를 보이는 동남아에서는 1년 내내 AI가 발생하는데도 말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방역 정책과 대응 지침은 현실에 맞춰 바뀌어야 한다. 상시 대응 체제를 구축해야 하는 것이다.

이번 경기도 파주 가금류 농장에서 발생한 AI로 1천600마리가 살처분됐다. 인근 방역대(10㎞)에 이동제한 조치가 내려졌으며 농장 앞에 통제초소를 설치하고 파주 전 지역에서 예찰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도는 AI 확산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측한다. 파주 발생 농장의 반경 500m 안에는 가금류 농장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해당농장 토종닭 650여 마리가 포천과 남양주시장에 판매된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는 그동안 구멍 뚫린 가축 방역시스템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창궐한 AI의 공포를 경험한 바 있다. 가축질병 방역시스템을 최대한 가동해 관리감독을 강화, 확산에 대비할 것을 권고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