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이나
화엄사 각황전 옆 흑매
검붉은 그리움이
뜨겁게 허공에 떠 있다
왈칵 속엣 것 누가 쏟아 놓았나, 핏자국
애절하여 차마 바라보지 못하겠다
처연함이 짙어져 지리산도 산그림자 깊어진다
피지도 못하고 진 꽃숭어리들
스물 둘 아버지 꽃
하르르 하르르
이별은 없다
- 시집 ‘유리자화상’
사군자의 하나, 세한삼우(歲寒三友)의 하나인 매화는 상춘의 상징이라 하겠다. 요즘엔 눈꽃 흐드러진 광양 매실군락지가 인기지만 아무래도 몇 백 년 수령을 자랑하는 古梅의 자태라야 매화 본연의 모습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고매로는 수령 600년이 넘는 선암사 청매도 일품이지만 화엄사의 흑매가 단연 압권이다. 오래 묵은 나무 둥치의 적당한 구불거림, 각황전 빛바랜 단청이나 기왓골과의 고졸한 어울림, 어찌 그리 검붉을까. 화자는 그 붉은 빛에서 핏자국을 본다. 누구나 아름답다고 칭송해 마지않을 그 꽃나무 앞에서 단숨에 져버린 낙화를 더 애잔해 한다. 미처 피지 못하고 진 목숨, 그는 수물 둘에 이승을 하직한 아버지이리라. 화자는 봄날의 눈부신 꽃에게서 아버지를 만나고 ‘이별은 없다’라고 단언한다. 분명 화엄이 아니고 무엇이랴.
/이정원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