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기지에서 평택으로 옮겨간 미8군 사령부의 평택기지 입주식이 11일 열렸다. 아직 완전하게 부대이전이 끝난 것은 아니지만 주한미군의 최고 지휘부가 이제 평택으로 이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로써 전국 91개 구역에 흩어져 있던 주한미군기지는 평택 중심의 중부지구와 대구의 남부지구 2곳에 집결시키게 됐다. 그동안 평택 대추리 주민과 군·경찰과의 충돌 사태 등 숱한 우여곡절 끝에 2003년 한미 정상회담에서 용산기지 조기 이전에 합의한 이후 14년 만에 마무리 단계로 들어서게 됐다.
미군기지 이전은 애당초 한미가 협정한 것보다 10년이 늦어져 기지이전 사업비도 16조원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났다. 그러나 어떻든 주한미군 기지의 평택시대는 한반도 안보나 지역경제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중요한 것은 한미연합사령부의 경우 일부 시설은 용산기지에 그대로 잔류한다는 점이다. 박근혜 정부가 2014년 ‘전시작전통제권 환수’를 무기한 연기해달라고 요청한 까닭에 전시작전권 환수 때까지 용산기지에 한미연합사를 남기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미군의 잔류 인원은 최소화하겠다고 했지만 그 규모나 비용부담 주체 등에 대해서는 아직 한미 간에 합의되지 않았다.
그렇더라도 이제 미군의 주요 거점은 평택이 될 수밖에 없다. 미군의 중심 기지가 수도 서울을 떠나 평택에 자리잡는다는 것은 현대전에서 중요시되는 공군력의 증강과 평택 2함대 사령부의 해군력과 함께 전략적으로 유연성이 강화될 것이 확실하기에 그렇다. 미군기지가 지리적으로 서울에서 멀어진다고 해서 그 기능이나 역할이 축소되는 것도 아님은 물론이다. 더욱이 북한이 미국 본토를 겨냥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을 성공하는 단계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미군기지의 평택 이전을 계기로 한미 방위협력의 공고화를 통한 적극적인 안보 전략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444만 평에 이르는 평택 미군기지에는 한국 측 건물 226개 동과 미국 측 287개 동 등 모두 513개 동이 들어서며 주한미군사령부 미8군사령부 등의 지휘부 시설과 훈련시설 학교 병원 등이 조성돼 30조6천억 원이라는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있다고 한다. 고용유발효과도 11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소비 측면에서도 5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돼 평택은 물론 국내 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도 기대된다. 미군기지 평택 이전이 안보와 경제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계기로 삼아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