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市 동양화학 부지에 뮤지엄파크 추진 시민단체 “사업계획 수정해야”

i미디어시티 시민평의회추진단
남구 주민, 화학공장으로 희생
굴뚝은 산업유산으로 보존해야
市에 공공투자방식 개발 촉구

인천 남구 시민단체가 인천시의 ‘인천뮤지엄파크’ 조성사업에 대한 재검토를 주장하고 나섰다.

i미디어시티 시민평의회추진단은 12일 기자회견을 열고 “기존 OCI(동양화학) 공장굴뚝을 산업유산으로 보존하라”고 시의 사업계획 수정을 요구했다.

현재 인천지역은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시립미술관이 없다.

지난 2000년부터 시립미술관 건립 논의가 시작됐지만 재정여건상 부지확보를 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던 시는 지난해 OCI(옛 동양제철화학)가 기부채납한 땅을 건립부지로 확정했다.

시는 5만809㎡규모의 부지에 잔존한 OCI 공장굴뚝을 철거하고 오는 2022년까지 인천뮤지엄파크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뮤지엄파크에는 ▲뮤지엄(미술관, 박물관) ▲문화산업시설(컬쳐스퀘어, 콘텐츠빌리지 3동) ▲문화공원 ▲야외 미술품전시공간 ▲야외 전시·공연공간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와 관련 추진단은 기존 산업시설을 철거하는 대신 보존·개발하는 융·복합방식을 제안했다.

이들은 “용현·학익지구는 1960년대만 해도 학익동 주민들이 바지락을 잡던 갯벌이었던 곳을 OCI가 매립해 80만 평(24㏊)의 땅위에 화학공장을 세워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며 “특히 OCI가 운영되는 동안 지역주민들이 악취와 석회수로 오염된 환경에서 고통스러운 삶을 살았던 만큼 인천 산업화의 역사와 함께 남구주민의 희생을 기억하는 산업유산으로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들은 민관합동개발 방식을 배제하고 공공투자로 건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는 뮤지엄파크 총 사업비로 2천665억 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중 1천341억 원은 국·시비로, 169억 원은 기존 박물관부지를 매각해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나머지 1천153억 원은 문화산업시설인 컬쳐스퀘어와 콘텐츠빌리지 등의 사업권을 민간사업자에게 주고 개발이익으로 충당할 예정이다.

추진단은 이어 “민간투자가 지연되거나 민간사업자 횡포로 인천지역에서 이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 사업들이 위기를 맞고 있다”며 “우려를 해소하고 제대로 된 사업진행을 위해선 공공투자로 사업계획을 변경해야 된다”고 말했다.

특히 뮤지엄파크 건립사업 과정에 반드시 남구 주민들이 참여해야 한다고도 촉구했다.

/이정규기자 ljk@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