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항만업계와 경제·시민단체가 인천신항 배후단지에 정상적인 사업진행을 위해 정부의 재정 투자확대를 촉구했다.
인천항발전협의회, 인천상공회의소 등 14개 단체는 13일 공동성명서를 통해 그동안 정부는 국내 주요 타항만에는 엄청난 재정을 투자하고 있어, 형평성을 고려해 인천신항 배후단지 개발에도 정부가 재정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매립토 부족으로 인천신항 배후단지 사업이 지연되면 컨테이너부두 활성화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신뢰도가 추락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현재 바다를 메워 진행 중인 인천 신항 배후단지 조성은 매립토 부족으로 사업일정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
배후단지 1구역 64만㎡는 애초 일정대로 내년까지 공급하고 2구역 94만㎡와 3구역 54만㎡는 1년을 늦춰 오는 2020년 말에 공급할 예정이다.
배후단지에는 화물 보관, 집배송, 조립, 가공 관련시설과 업무·상업시설 등 항만 활성화에 필수적인 기능들이 들어선다.
이에 배후단지 조성지연은 올해 말 1단계로 컨테이너 부두 6개 선석이 완전히 개장하는 인천 신항의 활성화에 상당한 악재다.
정부는 최근 매립토 확보 대책을 세우면서 배후단지 2구역의 경우 인천항 제1항로 준설사업과 연계해 민간개발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 경우 정부가 배후단지를 직접 조성했을 때보다 부지·시설 임대료가 급등할 것으로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이들 단체들은 “부산, 광양, 평택 등 국내 주요 항만은 막대한 정부 재정으로 배후단지를 조성해 값싼 임대료로 항만 경쟁력을 높였다”며 “새 정부와 여당은 공정하고 형평성 있는 국가항만정책을 실현하는 차원에서 인천 신항 배후단지의 부족한 매립토 확보 예산을 재정으로 충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