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유성 해외연수를 떠나 물의를 빚은 충북도의원 3명이 지난 21일 전원 제명됐다. 자유한국당 윤리위원회가 초강경의 조치를 취한 것이다. 김학철(충주1)·박한범(음성1)·박봉순(청주8)의원 등 3명의 입장에서는 “우리만 그런 거냐”는 억울함이 있을 수 있다. 대부분의 국회의원 지방의원들의 이같은 행태가 계속돼왔기 때문이다. 당사자 중 한 의원이 국민을 설치류에 빗댄 발언도 이 결정에 한몫을 했다. 따라서 자유한국당의 입장에서는 빗발치는 여론을 감안해 제명을 선택했다. 사안의 인화성이 커 더 번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단호한 조치다. 일종의 시범케이스 성격으로 당분간 의원들의 해외연수에 경종이 될 것이다.
꼭 11년 전이다. 2006년 7월24일 당시 한나라당은 당 윤리위원회를 열어 수해지역에서 골프를 친 홍문종 전 경기도당위원장에 대해 제명 조치를 내린 적이 있다. 당시에도 제명은 당 윤리위가 내릴 수 있는 제재 가운데 가장 강력한 조치였다. 그 때 홍 전 도당위원장과 함께 골프를 친 김철기, 김용수 경기도당 부위원장, 이재영 평택을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홍영기 용인갑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이영수 중앙위 청년분과위원장에 대해서는 1년간 당원권 정지처분을 내리기도 했다. 그러나 제명조치까지는 아니지만 그 이후에도 국회의원과 지방의원들의 비윤리적인 행동들은 여론의 질타를 계속 받아왔다.
이번 충북도 의원들의 제명사건이 주는 의미는 크다. 이들 외에도 기초의원이나 광역의원들 역시 마음을 가다듬는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선출직이라는 공직자로서의 기본 자세를 다시금 생각하고, 뽑아준 주민들을 위해 어떠한 자세로 임해야 하는지를 여실히 보여준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뜻밖의 수해를 겪고 실의에 빠진 주민들을 외면하고 버젓이 외유성 해외연수를 떠난 것도 비난받아 마땅한 일인데 국민들을 향해 막말을 쏟아낸 행태는 오만의 극치일 뿐이다.
이제 국회와 지방의회의 해외연수 관행이 바뀌어야 한다. 말이 연수지 세부 일정은 모두 해외관광에 가깝다. 의정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예산안 심사나 조례안 제출 등에 도움을 준다는 명목으로 국민의 세금으로 해외연수를 하도록 돼 있다. 그래서 임기 안에 어떻게 해서라도 꼭 가려고 안간힘을 쓴다. 지난 2011년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방의원 행동강령까지 만들어 의원 스스로 외유성 연수를 자제하라고 권고했지만 허사다. 이번 조치를 계기로 국회의원과 지방의회 의원의 비정상 해외연수 관행을 바로잡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