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중고차 수출기지로 개발 추진중인 인천항 ‘첨단 자동차 물류클러스터’ 조성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인천항 인근 주민과 중구의회는 대규모 중고차 매매단지가 들어설 경우 교통난과 환경피해가 우려된다며 조성사업을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인천시와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오는 2025년까지 인천 남항 배후단지 39만6천㎡에 자동차 물류클러스터 조성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1단계로 오는 2020년까지 중구 연안동 제1국제여객터미널 컨테이너 야적장 11만8천㎡에 주차타워, 경매장, 검사장, 세차장 등 기본시설을 배치하고 2단계는 2022년까지 기존의 컨테이너 복합물류창고 용지 8만5천㎡에 자동차 정비시설, 공원, 교육시설 등을 조성한다.
3단계는 다른지역 이전 예정인 석탄부두 자리 19만4천㎡에 수입차 출고 전 점검센터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인천항은 지난해 기준 총 19만7천 대의 중고차를 수출, 국내 전체 중고차 수출물량의 86.2%를 처리했다.
시는 중고차 선적이 가능한 인천 내항 5부두에서 가까운 남항 배후단지에 첨단 자동차 물류클러스터를 구축하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자동차 수출 매매단지는 상주인원 및 유동인구가 3천여 명에 달할 것이며 1천억 원 규모의 생산유발 효과와 570여 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 중구 의회와 인천항 주민들은 주거·상업지역 인근에 항만물류시설이 인접해 있어 수십 년간 환경피해를 봤는 데 이제는 자동차 물류단지가 들어서면 교통난과 환경피해가 가중될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결국 구의회는 자동차 물류클러스터 조성 반대 공식 결의문까지 채택했다.
반면 항만공사는 자동차 물류단지가 조성되면 남항 일대 교통혼잡이 오히려 완화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공사는 기존 컨테이너 야적장과 석탄부두가 자동차 물류단지로 조성되면 연간 16만 대의 트레일러 차량 운행이 4만 대 정도의 자동차 운반차량 운행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사 관계자는 “자동차 물류클러스터는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사업인 만큼 관련기관과 유기적으로 협조해 지역주민의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항만공사는 주민 설명회와 현장견학, 국회 정책토론회를 개최한 뒤 올해 말 공모를 거쳐 내년에 민간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