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발전연구원 시정이슈 제안
수도권매립지를 수도권 최대의 환경·생태공원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매립지 내 대규모의 태양광발전설비 건립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진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16일 인천발전연구원이 시정이슈제안으로 수행한 ‘수도권매립지 야생조류 출현현황과 관리방향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매립지는 야생생물이 서식하는 마지막 대형 공간이다.
특히 넓은 수면과 초지를 가지고 있는 안암호를 중심으로 한 제4매립지는 야생동물들의 중요한 보금자리가 되고 있다.
앞서 매립지는 오랜 기간 동안 일반인들의 접근을 차단하고 매립사업을 진행해 매립사면을 녹화하거나 습지와 유수지를 조성했다.
매립예정지인 제4매립지의 경우에는 넓은 초지가 형성되어 야생조류뿐만 아니라 다양한 멸종 위기종 생물들의 서식지가 되고 있다.
현재 1~4매립지와 녹색바이오단지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1급인 흰꼬리수리, 매, 두루미, 저어새, 황새, 노랑부리백로 등 6종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2급인 큰고니, 큰기러기, 검은머리물떼새, 노랑부리저어새, 새홀리기, 갯빛개구리매, 새매, 큰말똥가리, 수리부엉이 등 9종 ▲문화재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한 칡부엉이, 원앙, 황조롱이, 개구리매 등 4종, 이외에도 다양한 오리류, 기러기류, 도요새류, 딱따구리류 등 많은 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인발연은 현재 제4매립지에서 논의되고 있는 태양광 발전사업이 넓은 면적의 초지와 녹지를 잠식할 것으로 예상하고, 수면에 태양광패널을 설치할 경우에는 이곳을 서식공간으로 하는 물고기를 포함하여 계절마다 이곳을 찾는 야생조류의 서식환경에 커다란 장애가 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인발연 관계자는 “수도권매립지는 넓은 호수, 초지, 사면의 숲, 습지, 꽃축제 공간 등 서식공간의 다양성으로 인해 생물이 다양하게 살 수 있는 공간으로 발전했다”며, “자연생태자원의 보존을 위해 위해시설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뒤 따라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