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서점과 온라인서점이 서적 유통시장을 장악하면서 우리나라 출판문화산업 생태계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송인서적이 올해 1월 최종 부도 처리된 사건이다. 송인서적은 국내 2위 도서유통사다. 송인서적의 부도는 중소출판사와 인쇄소 등의 연쇄 붕괴사태를 초래했다. 지역 동네서점들도 출판문화산업 생태계의 변화로 인해 어려움에 처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2015년 실시한 국민독서실태조사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들은 대형서점(39.1%)이나 인터넷(20.6%)에서 주로 책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네 소형서점에서 구입한 경우는 12.5%밖에 되지 않았다. 2011년 25.4%였는데 5년 만에 절반 정도 줄어든 것이다.
이는 경기도 역시 마찬가지다. 23일 경기도가 발간한 ‘경기도 지역서점 실태조사 및 발전방안 연구’ 보고서에 의하면 경기도민의 74.7%는 온라인 서점에서 책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또 선호도 역시 지역 서점(22.3%)보다 온라인 서점(56%)이 높았다. 주민들이 지역서점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보유도서의 종류와 수가 적어서’(51.6%)라고 응답했다. 안타까운 것은 도내 지역서점 주인 10명중 7명은 서점을 계속 운영할 의사를 갖고 있는데 반해, 지역 주민들은 동네서점보다 온라인 서점을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에 도는 대형 프랜차이즈 서점과 온라인서점 등에 밀려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네책방을 살리기 위한 ‘경기도 책 생태계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2017 힘내라! 경기 동네서점’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동네서점을 지역사회 문화활동 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동네서점 프로젝트는 지역서점을 복합문화공간으로 리모델링하는 리모델링 지원형, 동네서점에서 문화행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활동 지원형으로 나눠 진행된다. 도의 조사결과 지역서점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휴식공간/시설물 개선(34.6%)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기 때문에 지역서점의 복합문화공간 리모델링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노후시설 교체 대상 서점을 선정해 건물 내·외부 인테리어 개선 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부족한 도서량 보완을 위한 지역서점 협력 네트워킹과, 도서판매 외 다양한 문화활동을 할 수 있는 복합공간으로의 전환이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도내 몇몇 서점들은 경영위기를 극복하고자 문화공간으로 변신하고 있다. 도의 지속적이고 획기적인 지원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