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설]부평미군기지 정화하여 조속 반환해야

부평미군기지 캠프마켓이 결국 오염된 것으로 파악돼 정화와 함께 신속한 반환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지난 27일 반환 예정 미군기지인 캠프마켓 내부의 환경조사를 벌인 결과 모두 33개 조사지점 중 7개 조사지점의 토양시료에서 다이옥신류가 1천pg-TEQ/g을 초과했다고 발표했다. 이 일대 토양에서는 유류, 중금속,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등의 오염이 발견되고 지하수에서 석유계총탄화수소 등이 검출됐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인천시 부평구도 29일 이른 시간 내에 대책회의를 갖고 미군 측에 조속한 토양정화와 부지의 공원전환을 요구키로 했다.

미군기지를 제대로 반환받기 위해서는 환경부 등 정부와 미군 측에 명확한 토양정화 기준을 마련하고, 관련자료의 공개도 이뤄져야 한다. 인천녹색연합도 과거에도 문제가 됐던 고엽제와 폴리염화바이페닐(PCBs) 등 독성물질 처리 의혹이 모두 사실로 드러났다며 미군 측의 오염 정화를 촉구했다. 오염을 원 상태로 돌려받기 위해서다. 인천환경운동연합, 가톨릭환경연대 등 지역 환경단체 및 시민단체도 이같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캠프마켓으로 인해 온갖 피해에 시달려온 인천시민들로서는 미군기지를 하루속히 반환받아 합리적인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오랫동안 있어왔다.

미군에 공여했던 부평기지의 반환은 지역의 최대 현안이다. 인천시는 당초 4천915억원을 들여 부평미군기지를 2022년까지 반환받는 사업을 추진 중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도 앞당겨야 한다. 물론 여기에는 오염자 부담의 원칙을 적용해 완전한 정화가 이뤄진 다음이다. 왜냐하면우리 정부는 그동안 미군기지 오염 자료를 비공개하다가 오염된 채 돌려 받은 일이 많았기에 그렇다. 전문가를 통한 환경오염의 정도와 오염원인 파악이 시급한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앞으로 반환될 미군기지의 활용방안 마련 등에 대해서도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 기지의 토지 매입과 도로개설, 공원조성, 환경오염 해결 등 숱한 문제가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중앙투융자 심사, 도시계획변경, 그에 따른 실시계획 인가 등 관련 행정절차도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2015년 이 지역에 신촌근린공원 조성계획을 마련한 바 있다. 또한 미군기지 내 건축물과 지하 시설을 활용해 역사사료관·생태 공간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도 있는 것으로 안다. 이같은 계획들도 차질 없이 진행되려면 지금부터 착실하게 준비해야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