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다음 주 양자 정상회담을 갖는다. 10일부터 11일까지 베트남 다낭에서 진행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만나기로 했다고 청와대가 31일 밝혔다. 문 대통령과 시주석은 지난 7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때 만나 회담을 가진 바 있다. 한중 정상의 만남을 앞두고 어느 때보다 경색된 두 나라 관계 정상화를 바라는 사람들의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 한중 정상 간의 만남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갈등을 빚어 불편했던 두 나라 관계를 완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에 앞서 최근 한국 남관표 국가안보실 제2차장과 쿵쉬안유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가 한반도 문제 등과 관련, 외교당국 간의 협의를 진행한 바 있다. 외교부는 두 나라가 북핵 문제와 관련해 한반도 비핵화 실현,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모든 외교적 수단을 통해 북핵문제 해결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 전략적 소통과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는 것이다. 두 나라는 모든 분야의 교류협력을 빠르게 회복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한다.
“사드와 관련된 양국 간 불편한 관계를 정리하고 이후 새롭게 한·중 관계를 발전적으로 전환한다”는 취지의 내용이 합의문에 포함됐다. 다만 사드문제에 대한 중국 측의 반대는 여전했다. 우리 정부는 한국에 배치된 사드 체계가 제3국을 겨냥하지 않으며 중국의 전략적 안보이익을 해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중국 측은 국가안보를 지키기 위해 한국에 배치된 사드 체계를 반대하며 한국 측이 관련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하기를 희망한다고 못 박았다. 그럼에도 중국의 태도변화가 감지된다.
환추스바오(環球時報)는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로 얼마 전 “강대국간 힘겨루기 속에서 한국은 개구리밥이 될 것”이라는 적절치 못한 글로 한국인들의 분노를 샀다. 최근 이 신문은 사설에서 “한·중 양국관계가 사드 갈등으로 1년 넘게 경색 국면에 빠졌다.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도 피해를 입었다” “한국이 최근 중국 안보 사안에 대한 우려에 답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박근혜 정부 때보다 사드 문제 해결에 있어서 더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이런 새로운 태도는 환영할만하다”고 썼다. 경제협력, 북핵문제 등 한·중 두 나라가 해결해야 할 일들이 많다. 이번 정상회담의 성과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