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청년들은 취업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청년 실업률은 9.2%지만 청년 체감실업률은 21.5%나 된다. 지난 7월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가 청년수당 대상자 4천700명을 대상으로 한 심리정서 자가진단 결과 일자리 문제 스트레스로 인해 정서적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청년들이 15.4%나 됐다. 또 정서적 지원이 필요한 비율도 15%였다. 그러니까 전체의 30% 정도가 정서적으로 불안하다는 얘기다. 감사원, 중소기업진흥공단, 강원랜드, 한국석유공사 우리은행 등 정부기관과 공기업, 금융권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는 채용비리소식은 청년들의 우울증을 더 깊어지게 한다.
취업스트레스는 청년들만 겪는 것이 아니다. 노인층에게도 심각한 문제다. 지난 8월 말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는 725만7천288명(전체 인구 대비 14.02%)이었다. 고령사회로 들어선 것이다. 이런 추세라면 노인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 진입년도가 2025년으로 앞당겨질 것이란 전망이다. 그런데 안타까운 것은 노인 절반정도가 가난에 쪼들리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빈곤율은 49.6%나 된다. OECD 평균 12.6%의 4배 정도다. 장수는 모든 인간의 염원이지만 빈곤과 질병에 시달리는 노년은 고통이다.
그래서 자신에 맞는 일거리를 잡아 소득도 올리고 사람들과 어울려 사회생활도 할 수 있는, 건강하고 평안한 노후를 꿈꾸는 것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송파병)은 지난달 27일 “2017년 현재 일자리사업 참여희망 노인 수는 129만명에 달하지만, 노인일자리 수는 추경예산을 포함하여 46만7천명으로 수요충족률은 36.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나마 공익활동이 33만7천명으로써 72.2%를 차지하고 있으며, 재능나눔활동 4만5천명(9.6%)까지 제외하면, 국가재정을 통한 노인일자리 지원은 고작 8만5천명(18.2%)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 정권은 근로 성격의 ‘노인일자리’가 아닌 자원봉사활동 성격의 ‘노인사회활동’으로 분류했다면서 ‘노인사회활동’에서 ‘일자리’ 개념으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간부문에서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노인 취업자 대부분은 비정규직이나 일용직 등 질 낮은 일자리에 집중돼 있다. 남 의원도 지적했지만 베이비붐세대 은퇴자들 가운데는 당장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문직이 많다. 정부가 장·노년층 일자리 창출에 적극 노력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