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지난해 9월 ‘알프스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건강에 극도로 안 좋은 미세먼지를 줄여 편하게 숨 쉴 수 있는 대기환경을 만들기 위한 종합대책이다. 2015년 연간 4천400t(PM10기준)인 미세먼지 배출량을 2020년까지 1/3 수준인 연간 1천500t으로 감축하겠다는 것이다. 미세먼지의 상당량이 중국에서 유입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발생하는 양도 많다. 따라서 ‘알프스 프로젝트’는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발생원 줄이기에 집중하고 있다.
정부는 경유차가 미세먼지의 주발생원이라고 여기지만 도의 입장은 다르다. 수도권 미세먼지가 경유차보다는 공장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발표한 미세먼지측정 결과에도 나타난다. 수원(49㎍/㎥), 광명(49㎍/㎥), 과천(48㎍/㎥) 등 자동차가 밀집된 도심지역보다 포천(65㎍/㎥), 동두천(64㎍/㎥), 평택(62㎍/㎥) 등 외곽지역이 오히려 미세먼지 농도가 높았다. 이 지역은 공장이 많다. 이에 도는 2020년까지 320억 원의 예산을 투입, 도내 1천200개 영세공장의 노후 대기오염 방지시설을 전면 교체하고, 섬유·염색업 등 400개 사업장에 320억 원을 투입해 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하기로 했다.
또 2022년까지 1천200억 원을 투입, 반월·시화국가산업단지의 미세먼지를 줄이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이와 함께 전기자동차 공급 확대, 청정버스정류소 설치, 에코(ECO)도로 지정 등 친환경 교통 인프라 구축 등 대책을 발표했다. 그런데 이 계획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는 것 같다. 14일 열린 경기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도의원들은 ‘알프스 프로젝트’가 주먹구구식 전시성 정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지환 의원(국민의당·성남8)은 “도 환경국은 그동안 어떤 환경 기준도 마련하지 못했고 시·군과 협의한 사실조차 없다”고 질타했다. 특히 부천 계남공원, 성남 모란역, 용인 구갈동, 안산 중앙로는 전국 도로변 대기오염도 상위 10위 안이지만, 지난해부터 아무런 역학 조사나 검토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진용복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은 “도내 영세배출사업장 1만1천432곳에 비해 영세공장의 대기 오염 방지 및 측정시설 지원사업장은 830개소로 7.2%에 지나지 않아 확실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천동현 의원(자유한국당·안성1)도 아스콘 공장의 심각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문제를 지적했다. 도가 이제라도 더 적극적으로 미세먼지 저감에 노력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