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헌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오늘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의 소환 조사를 받는다. 한국e스포츠협회 회장과 명예회장을 지낸 전 전 수석은 2015년 7월 롯데홈쇼핑으로부터 후원금 명목으로 3억 원의 뇌물을 수수한 혐의(제삼자 뇌물수수)를 받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여권의 고위 인사가 부패 혐의로 검찰 포토라인에 서게 된 것은 처음이다. 초대 정무수석이 정부 출범 6개월 만에 낙마해 검찰 조사를 받게 됨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은 정치적 부담을 안게 됐다. 검찰이 자신에 대한 소환 방침을 밝히자 전 전 수석은 지난 16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누가 될 수 없다면서 사의를 표명했다. 전 전 수석은 제기된 의혹과 관련해 “제 과거 비서들의 일탈행위에 대해 다시 한 번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그 어떤 불법행위에도 관여한 바가 없음을 다시 한 번 분명히 말씀드린다”며 결백을 주장했다.
검찰이 전 전 수석을 제삼자 뇌물수수 혐의로 소환한다는 소식에 정치권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검찰이 ‘살아 있는 권력’인 청와대 정무수석을 향해 칼끝을 겨누자 ‘검찰발 사정한파’가 본격적으로 휘몰아치는 게 아니냐며 잔뜩 긴장하는 것 같다. 특히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여권 핵심인사가 검찰에 소환되는 만큼 곧이어 야당 정치인을 향한 사정 드라이브가 강하게 펼쳐지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고 한다. 때마침 검찰이 친박(친박근혜) 핵심인 최경환 의원을 수사 선상에 올려놓고 조사 중이라는 언론보도도 나왔다. 그가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시절 국가정보원으로부터 특수활동비 명목의 금품 1억 원을 건네받은 혐의를 검찰이 잡았다는 것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전 전 수석에 대한 검찰 수사를 검찰개혁에 대한 반발로 해석하는 시각도 제기된다. 국정원 댓글 사건에 연루돼 수사를 받다가 투신한 변창훈 전 서울고검 검사 사건으로 곤경에 몰린 검찰이 국면전환을 시도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검찰은 적폐청산 수사와 정치인 비리 수사를 ‘정치보복’이나 ‘검찰개혁 반발’로 해석하는 일각의 주장이 사실무근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라도 일말의 정치적 고려 없이 법과 원칙에 따라 공정하게 수사해야 한다. 비리 혐의가 있다면 성역을 두지 말고 철저히 수사해 단죄해야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추락한 검찰의 신뢰를 회복하고 흔들리는 공권력의 위상을 바로 세우는 길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