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의 자연재해 안전도가 지난 해에 비해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재해위험 요인은 낮아진 반면 예방대책 추진과 예방시설 정비는 높은 점수를 받았다.
17일 시에 따르면 행정안전부가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재해위험 요인, 예방대책 추진, 예방시설 정비 등 3개 분야에 대해 60개 지표를 진단한 결과, 시는 지난해 9등급에서 5등급으로 4단계나 상승했다.
100점으로 환산했을 때 65.95점으로 경기도(63.62)나 전국(63.22) 평균에 비해 높았다.
특히 예방대책 추진은 재해 저감을 위한 행정적인 노력도를 진단하는 사항으로, 취약 지역의 안전점검 및 관리대책, 재난 예보·경보 체계 구축 운영, 하수도 준설 등을 평가한다.
시는 2015년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을 수립 완료해 하천재해, 내수재해 등 지구별 저감 대책을 추진 중이며 재난예방 CCTV 및 경보방송 등의 지속적인 추가 설치로 재난 예방에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와 함께 화재 발생은 지난해 482건에서 올해는 428건으로 54건(11.2%) 감소했다.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수도 지난해 53명에서 올해는 36명으로 17명이 줄었다. 32.1%의 감소율이다.
또 운전자 법규위반별 교통사고에서는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이 가장 많았다.
5대 범죄 발생 건수도 줄었다.
지난해에는 1만902건의 범죄가 발생한 반면 올해는 9천489건이 발생해 13% 감소했다. 5대 범죄 발생 순서는 폭력이 5천762건(60.7%)으로 가장 높았고 절도 (3,277건)가 뒤를 이었다.
생활안전 분야의 구급 발생 건수도 지난해 2천303건에서 올해 2천69건으로 10.2% 감소했다.
자살 사망자 수도 지난해 204명에서 올해 201명으로 3명이 줄었다.
19세에서 64세 남자의 자살 사망자가 많았으며, 우울증과는트레스가 높은 수준으로 나왔다.
법정 감염병 사망자 수는 지난해와 올해 모두 33명이 발생해 변동이 없었으며 결핵 사망자가 전체의 85%를 차지했다.
제종길 시장은 “사람이 최우선인 안전한 생명도시 안산이라는 슬로건에 맞춰서 지역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산=김준호기자 jh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