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개발에 따라 인구 유입이 급증하고 있는 인천 송도국제도시내 학교 증설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에 따르면 올해 인구 12만 명을 넘어선 송도국제도시는 내년부터 오는 2021년까지 6·8공구에 2만7천945가구, 8만여 명이 입주할 예정이다.
송도지역에는 오는 2019년 능허대중이 이전 개교하면 전체 중학교 6곳의 학급당 평균 학생수가 33명으로 예상되지만 2020년 6·8공구에 중학생 1천800여 명이 유입되면 학급당 41.7명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여기에 오는 2021년 추가로 설립 예정인 송도 8공구내 가칭 ‘해양1중’ 개교가 계획보다 늦어질 경우 2021년 이 지역 중학교의 학급당 평균 학생수는 45명을 넘어서는 콩나물교실이 나타날 수 있다.
인천시교육청의 중학교 학급당 기준 학생 수는 26.5명이다.
인구 증가가 예상되는 신도시에 제때 학교가 문을 열지 못하는 이유는 정부의 ‘학교 총량제’ 때문이다.
현재 학교 설립은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의 승인이 필요한 데 먼저 적정 규모 이하의 소규모 학교를 통폐합·이전하는 조건으로만 신설을 승인한다.
인천에 학교 하나를 세우려면 학생 수가 줄어든 기존의 다른 하나를 없애야 한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인천 정가에서는 지역별 여건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적인 경제 논리로 학교 신설을 통제해선 안 된다며 학교 총량제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인천지역 시의원들은 지난 19일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가 열린 부산을 방문해 학교 신설을 촉구하기도 했다.
정창일 시의원(연수1)은 “현재 송도 1·2·3·4·5·7공구 인구가 12만 명인 데 6·8공구에 주거용 오피스텔이 무분별하게 추진되면서 최악의 경우 6·8공구에만 11만 명이 살게 된다”며 “송도의 베드타운화를 막는 대책과 병행해 학습권 보호를 위해 학교 증설은 시급히 추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는 21일까지 각 지역의 학교 신설 타당성을 심사하며 향후 14일 안에 결과를 각 시·도교육청으로 통보할 예정이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