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인천공항 인근 MRO단지 조성론 확산

국토부, 사천 KAI 사업자 선정
지역 균형발전 명분에 인천 배제
인천 근거리 정비체계 구축 시급
市 등 별도 MRO단지 추진방침

최근 국토교통부가 항공정비(MRO) 단지 사업대상자로 경남 사천에 위치한 KAI(한국항공우주산업)을 선정한 것과 관련, 인천국제공항 인근에 별도의 항공정비 단지를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받고 있다.

27일 인천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이번 MRO 사업대상자 선정과정에서 지방공항 활성화와 지역 균형발전이란 명분으로 인천공항을 원천 배제했다.

시는 수 년 전부터 인천국제공항공사와 MRO 산업단지 사업을 추진했지만 성과가 없는 상황이다.

MRO 분야는 공항과 연계돼 기술개발과 연구가 진행돼야 하지만 정부의 지방공항 활성화 정책으로 한 발짝도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시는 사천 KAI와의 역할분담 차원에서 인천국제공항에 ‘민수분야 중심의 항공기 정비서비스’ 부문의 정부지원 특화단지를 곧바로 지정·조성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인천국제공항의 경우 일일 1천 회 이상의 운항횟수를 자랑하지만 정비 불량으로 인한 결항률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 항공기 운항안전을 위한 ‘근거리 정비서비스’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지난 2010년 3.9%였던 정비 불량에 의한 인천공항 출발편 결항률이 2016년 2분기에는 23.5%로 급상승했다.

그럼에도 지난해 기준 국내 항공기 정비 수요는 1조9천억 원 규모로 이 중 48.6%(9천400억 원)가 해외에서 이뤄진다.

특히 현재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항공기들이 정비를 위해 사천까지 이동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의 문제가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

또 MRO 산업단지는 항공기의 안전성 확보와 공항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분야로, 인천공항과 경쟁하고 있는 중국 베이징서우두국제공항,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의 경우 공항 주변에 MRO 산업단지를 조성했다.

유럽의 항공교통 거점이라 불리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키폴공항도 마찬가지다.

이들 공항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항공기와 관련한 물류, 정비 시설 등을 공항 주변에 배치했다.

인천공항은 이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정비고가 위치했으며 내년 상반기에는 LCC(저가항공) 공용정비고가 문을 연다.

이에 따라 시와 인천공항은 MRO 산업단지 조성 계획을 미룰 수 없다고 판단, 독자적인 MRO 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공항 제4활주로 인근 114만㎡에 항공기 17대를 정비할 수 있는 규모의 MRO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정규기자 ljk@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