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 논의를 주제로 남북 연락 채널이 약 2년 만에 재개통하는 등 남북관계에 훈풍이 불 조짐이 보이자 서해5도 어민들이 ‘남북 공동 파시(波市·바다 위 생선시장)’ 조성을 제안했다.
‘서해5도 생존과 평화를 위한 인천시민대책위’는 4일 성명을 내고 “‘안보의 성지’가 된 서해5도에서의 대결 구도를 ‘평화의 바다’로 전환해야 한다”며 “남북긴장에 따른 인내와 희생을 지금까지 감당하고 있는 ‘서해5도와 옹진반도의 남북 어민들’이 참여해 그 경제적 혜택을 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서해5도 해상 파시는 ‘바다의 개성공단’으로 남북 긴장완화를 위한 또 다른 출구 모델”이라며 “남북이 지루한 긴장을 끝내고 공동 번영의 평화체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백령도에서 연평도까지 북방한계선(NLL) 해상에서 대형 바지선을 띄워 남북 수산물을 교역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옹진반도를 비롯한 서해5도의 풍부한 어장유지를 위해 ‘남북수산기술협의체’를 설치해 체계적인 해양자원의 보전과 남북 수산과학기술의 교류도 요청했다.
대책위는 또 “해상 파시는 백령도 용기포항과 연평도 신항, 북한에서 추진하는 강령 농수산물 가공단지 등 옹진반도 연안의 수산 인프라와 연계하면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며 “남북 수산물 경제협력이 지난 2010년 5·24 조치로 중단됐지만 경협이 이뤄질 당시 북한의 바지락·백합이 국내 조개류 가격 안정에 기여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컸다”고 말했다.
이들은 “2018년 새해 남북 대화의 첫 시작을 다시 한번 환영한다”며 “정부도 서해5도 어민과 인천시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서해5도 해상파시 민관 TF’를 조속히 구성하고 대청도 B어장과 연평도 어장 연결, 남북수산협력 세부사항 개발 등 깊이 있는 준비를 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인천시도 남북교류사업이 재개될 것으로 기대하며 올해 들어 그동안 중단된 사업 점검에 들어갔다.
시가 올해 추진하는 남북교류사업 계획은 고려 개국 1100주년을 맞아 남북학술 교류 사업을 비롯해 남북 공동어로·수산업 개발 협력, 한강 하구 공동 이용, 북한 말라리아 예방·치료사업 등이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도 지난해 7월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인천지역 공약 8개 가운데 남북 관련 핵심 공약은 수도권~개성공단~해주를 연결하는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을 선정했다./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