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설]실개천과 지류 살리기 적극 나서라

지난해 6월 21일 대구 달성군 낙동강 강정고령보에서 상시개방 이후의 수질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보를 찾은 이낙연 국무총리가 한 말이 있다. “계단을 청소할 때 아래부터 하기 시작하면 나중에 위에서 흘러내린 물 때문에 다시 더러워진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4대강 역시 4대강만 청소해선 아무 소용이 없고, 4대강 샛강과 실개천에서부터 깨끗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번 옳은 말이다. 이명박 정부의 ‘4자방(4대강, 자원외교, 방위산업)비리’ 중 하나인 4대강을 시작할 때 수많은 국민들이 반대했다. 그리고 한편에선 4대강에 앞서 실개천과 샛강, 지류를 먼저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치권과 공직 사회, 대기업 등 사람 사는 사회도 그렇지만 자연 역시 윗물이 맑지 않은데 아랫물이 깨끗하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그래서 마을 앞과 동구 밖 들판을 흐르는 실개천과 샛강이 송사리가 놀았던 옛날처럼 정화돼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도시의 하천은 폐수가 흐르는 시궁창으로 변한 지 오래다. 그나마 수원천 등의 경우는 양식 있는 시민들의 노력과 시의 결단으로 복개를 중지시키고 기복개된 부분까지 걷어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시 하천은 두꺼운 시멘트로 덮여서 도로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골도 크게 다르지 않다. 생활하수로 오염돼 물고기가 살지 않는 죽음의 하천이 됐다. 그런데도 이명박 정부는 이를 우선순위에 두지 않고 4대강 사업에 몰두했다. 따라서 더 늦기 전에 이제라도 도랑, 실개천, 샛강을 살리는 일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혼신을 다해야 한다. 오염된 흙을 파내고 오·폐수 유입을 차단해 수질 보전해야 한다. 아울러 환경정화, 식물 심기 등 각 지역에 맞도록 복원을 해야 한다. 정부뿐 아니라 주민들도 자벌적으로 동참해야 성공한다.

일례로 아산시는 천편일률적인 관주도 하천정비사업을 탈피, 시민이 다양한 방법으로 참여하는 물 환경 보전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 지방하천 수는 총 498개소인데 이는 전국 3위 규모다. 그럼에도 지류, 지천에 대한 수질오염 개선 작업은 부족하다. 이에 경기도는 ‘좋은 물’ 기준에 미달하는 유역면적 75㎢ 이내의 중소규모 지류를 대상으로 수질 개선사업을 펼치기로 하고 한강유역환경청과 함께 제7차 통합·집중형 오염지류 개선사업 선정을 위한 설명회를 열었다. 정부와 도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과 각 시·군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