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발전협의회 긴급 토론회
인천자동차발전협의회는 21일 제풀포스마트타운 2층 대강의실에서 ‘한국GM 조기 경영 정상화 및 인천지역 자동차산업 발전을 위한 긴급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한국GM 조기 경영 정상화 방안’과 ‘인천지역 자동차산업 현황과 발전 과제’가 발표됐다.
먼저 권용주 오토타임즈 편집장은 “한국GM이 지금의 위기를 겪는 이유는 쉐보레의 유럽시장 철수에 따른 수출 축소, 생산차종의 노후화, 내수시장의 성장률 정체 등이 원인이다”며 “고비용 구조의 개선, 생산차종의 변화, 부채해결 및 운영자금 투입, 적정생산규모 유지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글로벌 자동차회사인 한국GM이 철수하는 것보다는 국내에서 계속 운영을 하는 것이 경제적 가치가 크다”면서 “정부가 지원을 머뭇거리지 말고 신속하게 결정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토론자로는 박병만 시의회 부의장, 홍준호 인천시 일자리경제과장, 김준우 인천대학교 교수, 윤석진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원,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 문승 ㈜다성 대표이사가 나섰다.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한국GM 부평공장의 ‘외국인투자지역’ 지정 문제에 대해 박 부의장은 “시의회 차원에서도 관련법을 철저히 검토해 인천지역 경제나 지역 일자리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결정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번 한국GM 위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협력업체 문 대표는 “현재 금융권에서는 신규대출은 물론이고 한국지엠에서 결재대금으로 받은 전자 채권이 거부당하고 있다”면서 “협력업체의 바람은 정부가 신속히 지원을 결정해 한국지엠이 신차를 출시해야 30만 협력업체 근로자들이 살 수 있다”고 호소했다.
끝으로 김 사무처장은 “정부가 글로벌GM과 협상 시 유리한 입장을 가질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반영할 수 있도록 여론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인천시민 서명운동을 제안했다.
한편, 인천자동차발전협의회는 지난 9월 19일 인천상공회의소가 지역 내 정치권을 비롯한 기관, 시민·사회·경제 단체, 기업 등 약 170 곳과 함께 창립한 조직으로, 인천지역 자동차산업 유지 및 발전을 위한 제반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