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항변

- 못생긴 나무의-

                                            /서순석

나는 못 생기지도 잘 생기지도 않다

생긴 대로 있을 뿐 꾸며 본 적 없다

그래서 지금껏 나는 산을 지켜본 적이 없다.


 

홀연히 눈을 뜨는 야심한 밤들이 기억난다. 사람을 지키지는 못해도 나무는 언제나 그 자리에 있다. 仁松, 어질고 착하게 변함없는 소나무를 상징하는 아호를 가진 이도 있다. 삶이 이율배반적이지만 삶은 정직하게 살려하는 방향일 뿐 하늘을 우러러 보면 정직하게 살지 못한 때가 많다. 그래서 완벽할 수 없는 우리는 실수를 하면서 살아간다. 그러나 실수를 인정하고 사는 것이 인격이고 자연의 순리다. 한 폭의 그림들로 액자 안에서 머물고 가기에는 너무 아쉬움이 남는 시다. 그것은 시인의 삶이 낙천적이고 인간적인 나약함이 늘 존재하는 시인의 얼굴이기에 그렇다. 저만치 들려오는 개울소리가 나무에 근접하면 애닯게 외로움을 이야기해야 하는 정적한 밤의 울림들로 지나간다. 인간에로의 희귀의 순간이 없을 수 있겠는가? 많은 적나라한 감정에서 우러나는 사람의 애틋한 목소리가 이 시에서 들린다. 그것은 못생긴 생명체에서만 아닌 내면의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시인의 마음과 필자 마음에 여운이 아련하게 진맥(診脈)되어 오는 것을 느낀다. 지울 수 없는 현실에서 나무를 바라만 보고 지키지 않더라도 그 자리에 오래도록 자리하는 너는 내가 되어 나는 네가 되어 보자. /박병두 문학평론가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