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미세먼지 대책의 일환으로 대기측정소를 대폭 늘리고 10만 명의 어린이에게 마스크를 지급한다.
시는 미세먼지에 대한 비상저감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28일 보건·환경 부서와 학부모, 관련 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유정복 시장 주재 미세먼지 긴급대책회의를 개최한다.
먼저 시는 대기오염의 정확한 측정을 통한 오염 저감 대책 추진을 위해 현재 15개인 도시대기측정소를 오는 2020년까지 23개로 늘린다.
이에 따라 최근 인구 급증지역인 송도와 청라국제도시 2곳에 측정소를 설치하고 29일 본격 가동에 앞서 27일부터 시험 가동에 들어갔다.
이날 유정복 시장은 청라측정소를 찾아 설치 현황과 향후 운용방안을 보고 받고 “시민이 안심할 수 있게 측정 결과를 바로 알리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부평구, 옹진군, 중구, 동구, 남구, 남동구 등 6곳에 순차적으로 추가 설치한다.
이들 측정소에서는 미세먼지(PM10), 이산화탄소(CO), 아황산 가스(SO₂), 오존(O₃), 이산화질소(NO₂) 등을 실시간 측정해 보건환경연구원 모니터로 전송한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이들 측정치를 시내 6개의 대기환경전광판, 시의 환경정보공개시스템을 통해 시민들에게 알릴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4월 초순부터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2∼6세 어린이 10만3천여 명에게 1인당 5매씩의 식약청 인증 KF 80 이상의 마스크를 지급한다.
또 55개 공공도서관에 100여 대의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고 냉난방기 정비도 시행한다.
시 관계자는 “봄철 미세먼지가 자주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각종 예방과 피해 최소화 방안을 시행할 것”이라며 “시민행동 요령과 건강대책도 세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