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임시국회가 한달 간의 일정으로 2일 개원했다. 개헌과 민생 법안 등 산적한 현안들이 기다리고 있다. 특히 정의당과 민주평화당의 공동교섭단체인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도 협상 테이블에 합류해 원내 5당이 개헌논의에 참여하게 돼 얼마만큼의 협상자세를 보여줄지 기대가 크다. 그러나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듯이 이번 임시국회 역시 당리당략에 빠져 빈손이 돼서는 안 된다. 늘 그래왔듯이 구태의연한 자세로는 더 이상 국회에 바랄 게 없다는 국민들의 지탄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각 당이 건설적으로 경쟁하고 대승적으로 타협하는 협상의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초당적인 협력을 해야 한다.
오는 9일에는 이낙연 국무총리가 추경 예산안과 관련해 국회 연설을 하게 된다. 청년일자리 창출의 시급함을 호소하고 여야의 협조를 당부할 전망이다.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간은 대정부 질문이 진행된다. 또 이번 임시국회 회기 중 문재인 대통령의 개헌 관련 국회 연설을 청취하기로 여야가 합의해 주목된다. 어떻든 이번 4월 임시국회는 개헌, 추경예산안 등 주요 쟁점을 다뤄야 하는 데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열리는 것이어서 그 어느 때보다 여야 간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임시국회에서는 또 상가임대차보호법, 유통산업발전법, 생계형적합업종법, 건설근로자고용개선법 등 소상공인과 노동자를 위한 민생법안들이 기다리고 있어 이의 처리여부도 관심이다.
개헌문제도 가장 큰 쟁점인 데다 4조원 규모의 청년일자리 추경안이 문제다.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야당이 얼마만큼 이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느냐도 관심거리다. 그러나 모든 현안들이 그렇듯이 오로지 국민들의 시각에서 바라본다면 합의점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재난 수준인 청년들의 고용위기를 극복하고 산업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제계를 생각한다면 더욱 그렇다. 게다가 오는 27일로 예정된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 문제도 4월 임시국회의 뜨거운 쟁점이 될 것이다. 여야는 대정부 질문을 통해 한반도 평화무드와 북한의 비핵화, 미국과의 관계 등 제반 문제들을 놓고 공방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정치는 대화와 협상이다. 이 과정에서 다툼이 있기 마련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그 속에는 당리당략이 아니라 국민의 이익이 자리해야 한다는 점이다. 남북도 대화를 이어가는 마당에 국회도 국민 앞에 뭔가를 보여줘야 한다. 그래서 국민의 삶을 지키고 내일을 제시하는 데 앞장서달라는 것이 국민들의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