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인천 이관 문제로 매립지 주변 주민과 공사 노조간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이 같은 갈등은 서구발전협의회가 지난달 말 공사의 인천시 이관을 촉구하는 ‘100만 서명운동’ 때문이다.
3일 시 등에 따르면 주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서구발전협의회는 지난 2015년 6월 서울시·시·경기도·환경부 등 ‘수도권매립지 4자 협의체’에서 합의한 공사의 시 이관이 3년 가까이 지나도록 이행되지 않고 있다며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4자 협의체는 당시 매립지 사용기한을 사실상 10년 이상 연장하는 대신 시에 매립지 소유권과 공사 관할권을 넘기기로 했다.
서발협이 공사 이관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공사 이관과 함께 부수적인 경제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앞서 시는 현재 매립지 전체 면적의 약 41%에 달하는 665만㎡의 소유권을 서울시·환경부로부터 이양받았다.
합의 당시 전체 면적의 18%는 공사 이관 시점에, 나머지 41%는 매립지 사용 종료 시점에 단계적으로 넘겨받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시는 복합유통시설과 테마파크 조성 사업을 위해 지난 2016년 다국적 기업과 투자협약을 체결했지만 사업 예정지를 환경부로부터 넘겨받지 못해 사업에 진척이 없는 실정이다.
주민들은 공사를 조속히 이관해야 나머지도 시로 넘어오고 테마파크 사업 추진도 재개될 것으로 보고 서명운동에 집중하고 있다.
김용식 서발협 회장은 “환경부는 4자 협의체 합의대로 공사를 조속히 시로 이관해야 한다”며 “그래야 매립지 소유권도 추가로 시에 넘어가고 연간 130만 명의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테마파크도 조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공사 노조는 “서명운동은 지방선거용 관권 운동”이라며 “서명운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노조는 성명에서 “환경 기초시설인 수도권매립지를 관리하는 국가공사를 시 지방공사로 만드는 것은 인천시민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책무를 떠넘기는 부담일 뿐”이라며 “서명운동을 중단하지 않으면 민주노총 등과 연대해 강력히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