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설]‘북한 말라리아’ 남한의 문제이기도 하다

북한이 고민하고 있는 질병 가운데 말라리아가 있다. 남한과 북한은 1970년대에 말라리아가 사라졌다. 그러나 북한은 1998년 2천여명, 2001년엔 무려 11만500여명이란 환자가 발생했다. WHO가 발간한 ‘2017 세계 말라리아 보고서’에 의하면 그 후 점차 감소하기 시작, 지난 2012년 2만1천850명, 2013년 1만4천407명, 2014년 1만535명, 2015년 7천10명, 2016년 4천890명으로 줄었다. 북한에 말라리아가 창궐하던 시기, 남한에서도 퇴치됐던 말라리아의 재유입이 시작됐다. 2000년에 감염자 수가 4천여명까지 급증해 비상이 걸렸다. 북한 접경 지역으로 말라리아에 감염된 모기가 넘어왔기 때문이다.

북한에 말라리아가 확산되자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 세계퇴치기금’(이하 글로벌 펀드)이 2010년부터 올해까지 총 누적금액 1억300만 달러를 북한에 지원했다. 한국 정부도 이 기금에 2016~2018년에 연간 40억 원을 지원해 왔다. 글로벌 펀드 지원 하에 유니세프가 주민에게 모기장을 나눠주고 살충제와 예방약, 치료약을 제공하는 등 말라리아 퇴치 사업을 벌여왔다. 그런데 북한의 말라리아를 막아주고 있던 글로벌 펀드가 올해 6월 말로 대북지원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글로벌 펀드는 지난 2월 21일 “자원 배치와 지원의 효율성에 대한 보장 및 리스크 관리가 요구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결핵과 말라리아에 대한 대북 지원금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북한 측은 비정상적이며 비인도주의적인 처사라며 “인도주의 협조를 정치화하려는 일부 세력들의 압력에 의한 것으로밖에 달리 볼 수 없다”고 비난했다. 글로벌 펀드가 지원을 중단하면 북한 말라리아 감염환자 수는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휴전선을 거침없이 넘나드는 매개모기로 인해 접경지역 주민과 우리 병사들도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이에 북한의 접경지역인 경기도-인천시-강원도가 나섰다. 대북제재에 대한 국제적인 공조체계도 필요하다지만 곧 말라리아 유행시기로 접어들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은 남한 환자의 80% 이상이 북한 발 말라리아 매개모기에 의한 감염으로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남북 공동방역이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각 지방정부와 민간부문의 남북교류 움직임이 일고 있다. 정부가 잘 판단해서 조정하겠지만 무엇보다 시급한 일은 말라리아 남북 공동 방역사업이다. 이미 도는 말라리아 남북공동방역사업을 실시한 경험이 있으므로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