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개최된 남북정상회담에서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를 평화수역 조성을 합의함에 따라 서해 5도 일대의 조업 환경 변화가 예상된다.
29일 연평도 어촌계 등에 따르면 이번 판문점 공동선언문에는 ‘남과 북은 서해 북방한계선 일대를 평화수역으로 정해 우발적인 군사적 충돌 방지와 안전한 어로 활동 보장을 위해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 같은 내용은 문재인 대통령의 인천지역 최우선 공약이기도 하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북측의 화답으로 NLL의 평화수역 조성은 빠른 속도로 실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서해 NLL은 한반도에서 2차례나 남북 교전이 발생했다.
지난 1999년 제1연평해전, 2002년 제2연평해전 땐 수 많은 남북 병사들이 전사했다.
이처럼 남북 최전선을 평화수역으로 조성하면 서해 NLL은 남북 화해를 상징하는 ‘바다의 개성공단’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서해 5도 어민들은 NLL 해상에서 군사적 위험 때문에 조업이 금지돼 있다.
바다의 휴전선으로 남북 모두 조업할 수 없는 해역으로 황금어장이 형성돼 있다.
이 때문에 그 동안 불법 중국 어선들이 NLL 선상에서 단속을 벌이지 못하는 점을 악용해 NLL을 넘나들며 우리의 어족자원을 싹쓸이 해왔다.
이번에 NLL이 평화수역으로 조성되면 남북의 공동 단속으로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을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어민들은 공동어로구역 조성뿐 아니라 남북 공동 ‘파시(波市·바다 위 생선시장)’ 등 남북 어민 협력사업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백령도에서 연평도까지 서해 NLL 해상에 대형 바지선을 띄워 남북 수산물을 교역하자는 것이다.
연평도 한 어촌계장은 “이번 공동선언문에 담긴 서해 NLL 평화수역 조성은 그동안 서해 5도 어민들의 주장이 사실상 수용된 것으로 봐야 한다”며, “군사적 도발 위험이 없는 상황에서 NLL 인근 해상으로 올라가 자유롭게 조업할 수 있다면 꿈만 같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서해 평화해역 조성 남북 합의는 지난 2007년에도 있었지만 이행되지 못했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