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이 1일 교내 미세먼지 대한 피해를 막기 위해 ‘학교 미세먼지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은 오는 2020년까지 인천 내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 내 공기청정기 설치를 확대할 예정이다.
먼저 공기 질 검사 결과 기준치를 2년 이상 초과했거나 대규모 산업단지·대로변·대규모 공사장 인근에 있는 학교가 우선 설치 대상이다.
올해는 시비 등 16억5천200만 원을 들여 417개 공·사립 유치원 1천785학급에 모두 공기청정기를 설치한다.
또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이상일 경우 호흡기 질환을 앓는 민감군 학생은 질병 결석을 인정하고 실외 활동을 실내에서 할 수 있도록 간이 체육실과 소규모 옥외체육관 등을 각 학교 사정에 맞게 마련한다.
시교육청은 현재 실내 체육 공간이 없는 82개 교 중 29개 교에 올해 안으로 실내 체육 공간을 만들고 매년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미세먼지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비상대책반’을 설치하고 학교 실내·외 공기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미세먼지 통합관리 시스템’을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시범 운영되는 ‘미세먼지 통합관리 시스템’은 인천 내 표본학교 5곳에 측정소를 설치해 학교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국가 차원에서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인천에 내려진 미세먼지 특보는 2016년 25회, 2017년 49회,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36회로 매년 늘고 있다”며 “"미세먼지 예보에 따른 실외 활동 자제나 임시휴업 등의 대응 요령을 각 학교 담당자들에게도 알렸다”고 말했다.
한편 시교육청은 미세먼지에 대한 평시, 고농도 예보, 고농도 발생, 주의보, 경보 단계에 따라 사전 계획부터 실외활동 자제, 수업시간 조정이나 임시휴업 등의 대응 요령에 대해 지난 3월 학교 담당자 교육을 실시한 바 있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