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비리에 묶였던 금융권의 채용이 하반기부터 풀리기 시작한다.
신한금융 검사 완료를 기점으로 금융권에 대한 채용비리 검사가 일단락된 데다 은행권이 마련 중인 채용 모범규준이 윤곽을 드러내면서 은행권이 밀려있던 채용을 시작하는 것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상반기 내내 꽉 막혔던 금융권 채용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먼저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이 하반기에 대규모 채용을 준비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올해 채용규모를 지난해(500명)보다 늘리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750명에 달하는 상·하반기 공채를 진행한다. 우리은행은 올해 750명을 공채하겠다고 앞서 밝혔고 하나은행 역시 채용규모를 작년보다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4대 은행의 올해 채용규모는 최소 2천250명으로 작년의 1천825명보다 400명 이상 많다.
시중은행들이 하반기에 이처럼 대규모 공채를 진행하는 것은 1차적으로 채용비리 때문에 검찰 수사까지 받게 되면서 상반기 공채를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채용을 진행하다 또 문제가 발견되면 금융당국의 표적이 되는 것은 물론 법적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릴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은행연합회는 속칭 ‘은행고시’라 불리던 필기시험을 부활하고 서류전형과 면접전형에 외부 위원 참여를 의무화하는 등 내용을 담은 모범규준을 마련해 금융당국에 전달했다.
일종의 권고사항이지만 채용비리로 몸살을 앓은 시중은행들은 모범규준을 충실히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공기업도 하반기에 최소 지난해와 같은 수준의 채용을 준비 중이다.
산업은행이 하반기에 60명, 자산관리공사(캠코)가 40명, 수출입은행이 20명을 채용할 예정이다.
주택금융공사는 현재 신입직원 35명을 뽑고자 공채를 진행 중이다.
금융당국은 금융공기업의 퇴직자를 늘려 청년 채용을 늘리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