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올해 11월로 예정된 김포도시철도(경전철)의 개통이 자체 공정점검 등 지연으로 7개월가량 늦춰져 파문이 일고 있다.
김포시민들과 지역 정치인들은 김포시가 올해 11월 개통을 공언해왔다며 대책수립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등 반발이 고조되고 있다.
김포시는 2016∼2017년 레미콘 등 골재 파동으로 토목공사가 6개월 정도 지연되자 시운전 기간 단축을 통해 오는 11월 개통해보려 했으나, 완전자동무인시스템인 김포도시철도의 안전성 검증 절차 등으로 연기가 불가피하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공정률 94%인 김포도시철도는 당초 계획대로라면 작년 11월 토목공사를 마치고, 자체공정 점검과 3개월간의 종합시행운전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미 자체공정 점검이 6개월이나 늦어졌다.
그동안 시는 서울 출퇴근 편의를 위해 도시철도 개통 시기를 앞당기겠다며 시승행사 등을 열며 11월 개통을 기정사실로 홍보해왔다.
그러나 6월 김포시장 시장 선거에 나서는 예비후보들이 도시철도와 연계되는 대중교통 관련 공약개발을 위해 도시철도의 정확한 개통 시점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불명확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시 관계자는 “전철역사 토목공사가 지연돼 종합시운전도 늦어지게 됐다. 공사는 올해 8월 모두 완공 예정”이라면서도 “오는 6∼7월쯤 정확한 개통 시점을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포 한강신도시 주민 모임인 ‘한강신도시총연합회’는 최근 성명을 내고 철저한 조사와 대책수립을 촉구했다.
이 연합회는 “(김포시는)그동안 도시철도 착공 및 공정과 관련한 문제에 대해 공개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입주자와 입주예정자를 기만한 행위로, 재산권 침해”라고 비판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국회의원(김포시갑)도 지난 9일 보도자료를 내고 “김포시가 선출직협의회 회의와 현안 관련 실무자 협의는 물론, 여러 차례 시승식에서도 올해 11월 개통에 문제가 없다고 해왔다”며 “시민 안전을 위협하지 않으면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여러 방안을 놓고 검토하고 대책을 수립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14년 착공된 김포도시철도는 김포한강차량기지(양촌역)∼김포공항역 구간(23.67km)을 평균 시속 48㎞로 무인 운행할 예정이다./김포=천용남기자 cyn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