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 송아지 값이 다시 400만원을 넘으면서 큰 소 값도 얼마까지 오를지 농가들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축산업계는 고공행진하는 송아지 값이 한우값 추가 상승을 부추겨 소비마저 둔화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농협 축산정보센터에서 조사한 지난달 전국 가축시장에서 생후 6~7개월 된 수송아지 평균가격은 404만7천원으로 한 달 전 385만1천원 보다 5.1% 올랐다.
청탁금지법 여파로 소 값이 폭락한 2016년 11월 315만6천원보다 무려 28.2% 뛰었다. 발육 상태에 따라서 460만원 이상 가격이 매겨지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송아지 값 상승은 송아지 공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농협경제지주가 집계한 올 들어 4개월간 전국 51개 가축시장 송아지 거래량은 3만5천644마리로 1년 전(3만7천572마리)보다 5.1%(1천928마리) 줄었다.
송아지 공급 기반이던 소규모 축산 농가가 2011년 이후 꾸준히 줄면서 공급도 감소했다.
당시 소값 폭락으로 정부는 암소 1마리당 30만~50만원의 장려금을 주고 10만마리를 도태시켰다.
축산업계는 고령화와 정부의 무허가 축사 적법화 사업도 소규모 농가 퇴출 속도를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한우 소비자가격도 오르고 있다. 지난달 전국 도매시장 한우 지육 평균가격은 1만7천961원으로 1년 전 보다 11.1%, 청탁금지법 시행 직후인 2016년 11월 1만5천787원보다 13.8% 상승했다.
소 값이 정점을 찍은 2016년 6월 1만9천142원에 육박한 상태다.
축산농가에서마저 추가적인 한우 가격 상승에 따라 소비 감소에 수입 확대 등을 우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올해 1∼3월 소고기 수입량은 11만3천t으로 전년 같은기간(10만7천t) 보다 5.2% 늘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국내 한우산업이 송아지를 자체 번식해 키우는 형태로 바뀌고 있고 이들은 시장 상황에 맞춰 탄력적으로 번식·사육 규모를 조절할 수 있다. 급격한 가격 변동이 생길 가능성은 적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한우가 오를수록 미국·호주산 쇠고기 수입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주철기자 jc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