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가 지난 10일 교복 현물지급을 명시한 ‘경기도 학교 교복지원 조례안’을 입법예고한 가운데 보수 성향 학부모 단체가 조례안 백지화를 요구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이하 학사모)은 17일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무상교복 현물지급 조례안은 일선 학교의 교복공동구매추진위원회와 학교 구성원의 선택권, 권리, 자율성을 침해하고 있다”며 “조례안을 전면 백지화하고 학부모를 파트너로 참여시켜 수혜자 중심의 만족도 높은 조례안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학사모가 지난 3월 진행한 설문조사한 결과, 무상교복 찬성이 87~93%, 지급방식은 현물 8%, 현금 92%, 디자인 자율 95~96% 등으로 나타났다”며 “도의회가 현물지급을 강제한 것은 학교와 학생, 교사를 ‘시키면 시키는대로, 주면 주는대로 먹으라’는 것이냐”고 성토했다.
교복 관련 업체들의 반발도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교복업체인 I사 수원본점 관계자는 “학교마다 교복이 다르고 사이즈별로 여분의 교복을 제작하다보니 적지 않은 물량이 재고로 남게 된다”며 “현물지급 방식을 택할 경우 재고를 모두 버려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S사 대표도 “단체교복 구매로 확정될 경우 기존 교복업체 대부분이 망할 수밖에 없다”며 “학생과 학부모에게 선택권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공동구매 방식 도입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도 만만치 않다.
초등학교 6학년 자녀를 둔 이경숙(여) 창룡초교 어머니폴리스 회장은 “교복도 업체마다 특징이 있다 보니 아이들의 선호도도 다르다”며 “교복을 일괄지급할 경우 많은 학생들이 재수선을 할 것이다. 이중으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고 지적했다.
또 중3 자녀를 둔 문유경(41·여·정자동)씨는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 업체에 따라 추가비용을 내야하고 위화감도 생길 수 있다”며 “공동구매 방식의 도입이 적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교복지원 조례안을 대표발의한 민경선 도의원(고양4)은 “현물로 지급하자는 원칙에 변함이 없다”며 “올 하반기에 시·군별 조례 제정을 통해 예산을 확정, 내년 입학생에 대해 현물지급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직수·최준석기자 jsa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