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생한 김포소방서 보트 전복사고는 자연을 거스른 나쁜 정책이 부른 인재(人災)다.”
사단법인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이사장 윤순영)이 14일 “서울시와 문재인 정부는 신곡수중보를 즉각 해체하라”는 성명서를 발표하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윤 이사장은 성명서에서 “2007년 9월 남북정상회담 의제에 ‘DMZ 일원의 생태환경 남북공동조사를 포함시켜 달라’고 정부에 제안했고, 2008년부터 한강하구 생태복원과 시민들의 안전을 위한 신곡수중보 철거를 여러 차례 주장했지만 지금껏 묵살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총 사업비 9천560억원을 들인 한강종합개발사업이 신곡수중보의 시발점으로, 정부가 88올림픽을 앞둔 1982년 9월 대공사를 벌이면서 서울시는 취수장의 수심 확보, 유람선 띄우기, 염수 역류피해 방지, 하천 주변의 지하수위 저하 방지, 바닷물을 막아 농업용수를 확보하겠다는 꼼수로 한강의 바닥을 긁어내 저수량을 늘렸고, 퍼낸 모래와 자갈은 강변도로에 얹어 올림픽 도로를 닦았다”고 언급했다.
윤 이사장은 또 “이후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 백마섬을 사이에 두고 고양시 쪽으로는 길이 883m에 높이 2.4m의 고정보가, 김포방향 124m에는 폭 20m, 높이 5m의 가동보가 만들어졌고 4대강 건설 이후 신곡수중보 아래 한강하구는 갯벌 하상이 빠르게 높아져 물골이 아예 사라진 모습이 장판을 연상케 해 신곡수중보를 경계로 단절된 서울 쪽 한강은 반복적으로 녹조로 뒤덮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울시는 서울시민의 위락을 위해 신곡수중보를 운영하고 한강하구의 환경을 지속적으로 훼손해 왔다”며 “신구곡수중보로 인해 담수화된 녹조현상 및 수질악화가 지속되자 가동보를 개방해 개선효과를 노린다는 서울시의 발상은 한강하구 지역주민의 생명과 환경을 위협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서울시의 이같은 나쁜 정책 때문에 한강이 죽어가고 인간의 생명마저 위협하는 재앙의 물길로 변하고 있는 것을 전 국민은 김포소방관 안타까운 사망으로 확인했다”며 “따라서 소방관의 사망원인에 대한 명확한 조사를 실시하고 서울시와 문재인 정부는 신곡수중보를 즉각 해체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지난 12일 낮 1시 30분께 김포시 김포대교 인근에 ‘민간보트가 신곡수중보에 걸려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김포소방서 수난구조대 소방대원 2명이 보트가 전복돼 실종됐다. 실종자들은 이튿날 숨진 채 발견됐다./김포=천용남기자 cyn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