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4년간 80억원 FA총액 상한
평균연봉 순위로 3등급 구분
프로야선수협회
포스트 시즌 앞두고 선수 악영향
총액상한, 공정거래법 위반 소지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이하 선수협)가 최근 KBO에서 제안한 FA 제도 변경안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선수협은 1일 보도자료를 통해 “선수협을 제도개선 협상 당사자로 인정한 점은 의미가 있지만, 시기상 빠른 논의와 결정의 어려움, 제안의 실효성 문제, 시행시기의 문제, 독소조항 등 여러 문제가 있어서 부정적이다”라고 밝혔다.
KBO는 지난달 19일 선수협에 자유계약(FA) 총액 상한제, FA 등급제, FA 취득 기간 1시즌 단축, 부상자 명단제도, 최저연봉인상 검토안 등을 포함한 제도 개선책을 제시했다.
KBO가 제안한 FA 상한액은 4년 총액 80억원이며, 계약금은 총액의 30%를 넘길 수 없다. FA 등급제는 최근 3년간 구단 평균연봉 순위에 따라 3단계로 나눠 보상을 차등화하는 게 골자다.
선수협은 “제도 변경안은 시간을 가지고 예고되고 논의가 이뤄져야 하지만 KBO가 이를 결정하기까지 한 달을 채 주지 않았다”면서 “특히 포스트시즌을 앞두고 순위경쟁을 하는 선수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번 KBO 제안은 당장 받아들일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FA 계약총액 상한제는 제도를 오히려 개악할 수 있는 독소조항이고, 공정거래법 위반 소지가 크다”며 “FA 등급제 역시 선정의 문제뿐만 아니라 보상이 여전히 크기 때문에 소위 B, C등급 선수가 쉽게 팀을 찾을 수 있는 제도가 아니다”라고 규정했다.
김선웅 선수협 사무총장은 기자회견에서 “현재 FA시장이 공멸의 길을 가고 있다면 선수협도 KBO리그 정책에 협조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과열현장의 근본원인을 제거하지 못한 채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하는 파행적 제도를 만드는 것에 반대한다”며 “KBO와 구단은 선수와 전문가의 의견을 받아들여 KBO리그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합리적인 제도개선에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정금조 KBO 사무차장보는 “선수협으로부터 세부 내용을 전달받은 뒤 구단과 논의를 거쳐 조만간 공식 입장을 정리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KBO가 선수협 반대에도 제도 개선안을 강행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정운찬 사무총장 의지대로 선수협을 공식적인 파트너로 인정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추진할 사안은 아니라는 공감대가 이미 형성됐다.
이달 중순부터 KBO리그 포스트시즌이 시작하는 만큼 KBO와 선수협의 FA 제도개선 관련 논의는 시즌 종료 후 본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정민수기자 j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