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허종식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은 최근 청라 G시티 생활숙박시설 논란과 관련, 국제업무지구에 맞지 않는 시설은 용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허 부시장은 24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G시티에 대규모 숙박시설을 허용할 수 없는 이유로 “확인 결과 구글·LG 등 글로벌 기업이 인천 청라G시티에 입주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허 부시장은 “이들 기업이 G시티에 생산시설이나 연구시설을 건립한다는 것은 와전된 이야기”라며, “G시티에 스마트도시가 건립되면 이들이 기업이 첨단 IoT 등 기술을 제공하는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서 그들이 맺은 MOU(양해각서) 협약은 평범한 협약에 불과하다. 유효는 하지만 법적인 구속력을 전혀가지고 있지 않으며 G시티에 건립될 숙박시설 내에 구글은 스마트시티 기술을, LG는 인공지능 가전제품을 설치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 청라국제업무단지 내 G시티사업은 청라국제업무단지 27만8천㎡ 부지에 사업비 4조700억 원을 들여 4차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오피스와 비즈니스 파크 등 첨단 업무 공간과 주거시설, 호텔, 쇼핑몰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지방선거 전인 올해 4월 인천시는 외국인 투자기업 인베스코, JK 미래㈜,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청라 ‘G-시티 프로젝트’ 추진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한편, 이번 G시티 생활숙박시설 논란은 청라 G시티에 LG와 구글의 생산시설과 연구단지가 들어오는 것으로 잘못 알려지면서, 김종인 시의원과 서구 구의원들이 대규모 자본과 생산시설의 유치를 위해 생활숙박시설 8천 실을 확충해야 한다고 인천시와 인천경제청에 요구하면서 불거졌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