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강릉 20.8℃
기상청 제공

채용비리 칼 뽑은 정부, 1453개 공공기관 전수조사

6일부터 내년 1월 31일까지
정규직 전환사례 등 현미경 점검
내일 근절 추진단도 출범

정부가 오는 11월 6일부터 내년 1월 31일까지 1천453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채용 전반에 대한 ‘강도 높은’ 실태조사를 벌인다.

정부는 3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박은정 권익위원장 주재로 국무조정실·경찰청·서울시 등 19개 기관이 참여하는 ‘공공기관 채용비리 정기 전수조사 관계부처 차관급 회의’를 열어 이같은 전수조사 계획을 공유했다.

전수조사는 지난해 10월 문재인 대통령의 ‘공공기관 채용비리 근절’ 지시에 따라 진행했던 전수조사와 같은 방식으로 이뤄진다.

기재부를 중심으로 338개 공공기관, 행안부를 중심으로 847개 지방공공기관, 권익위를 중심으로 268개 공직유관단체 등 총 1천453개 기관이 조사 대상이 된다.

조사는 최근 5년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사례, 지난해 채용비리 전수조사 이후 이뤄진 모든 신규채용을 중심으로 기관장 등 임직원의 채용 청탁·부당지시 여부, 이에 따른 인사부서의 채용 업무 부적정 처리 여부, 채용절차별 취약요인 등에 중점된다.

또 권익위·기재부·행안부가 참여하는 ‘공공기관 채용비리 근절 추진단’도 11월 2일 출범, 올해부터 매년 정기조사를 주관한다. 추진단장은 권익위 부패방지분야 부위원장이 맡고, 총괄팀·제도개선팀·신고센터로 구성된다.

정부는 전수조사 결과 적발된 채용비리에 대해서는 인사권자에게 징계·문책·채용취소 등 엄정한 조치를 요청하고, 비리 개연성이 농후한 경우에는 검·경에 수사를 의뢰할 계획이다.

/최정용기자 wesper@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