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내 유휴 공간을 활용해 아동복지와 주민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학교 관계자들에 의해 표류하면서 애꿎은 아이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
17일 경기도교육청과 수원시에 따르면 이재정 교육감과 염태영 시장은 지난 5월 1일 MOU를 맺고 수원의 A초등학교에 지역아동센터와 청소년 시설 등을 설치하기로 했다.
학생이 줄면서 남는 교실을 교육청이 제공하고, 시가 건물 리모델링을 통해 교육협력 모델을 만든다는 것으로, 협약에 따라 시는 총 18억원의 예산을 수립해 지난 11월 A초교 내 건물 3층을 지역아동센터로 조성했다.
시는 이후 지역아동센터 시설장, 복지사 등 채용을 마무리하고 지난 11월 말부터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었지만 지난 9월 부임한 B교장이 “아동에 대한 안전 확보가 미흡하다”는 이유로 아동모집을 반대하며 시설 개방을 제한하면서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다.
B교장은 또 돌봄교실 이동 아동 전원 수용을 비롯해 방과후 프로그램 지역아동센터 운영, 야간 경비 채용, 별도 출입용 교문 설치, 센터 차량을 교내 주차금지 등을 요구하며 수원시장과 학교장 사이에 관련협약 체결 후 아동모집을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시와 학교의 생각지도 않았던 의견 대립으로 결국 아동모집이 지연되는 등 차질을 빚으면서 애꿎은 아이들만 갈 곳을 잃은 상태가 됐고, 겨울방학을 앞두고 아이들을 보낼 곳이 마땅치 않은 한부모와 조손가정 부모들의 조바심은 더 커지고 있는 상태다.
A초교 한 학부모는 “곧 방학인데 지역아동센터는 언제 개원할지 몰라 결국 다른 지역아동센터를 알아보고 있다”며 “아동에게 혜택이 많은 복지시설 운영을 왜 학교가 막는지 모르겠다. 행정편의만 생각하지 말고 애들을 생각해 달라”고 토로했다.
B교장은 “지역아동센터 설립으로 돌봄교실이 없어지면 저학년 맞벌이 부부들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 돌봄교실 아동을 우선 배치하겠다는 내용을 문서로 확인하지 않으면 시설 개방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감과 수원시장간 맺은 협약을 토대로 양쪽의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며 “학생을 중심에 놓고 원활한 합의방안을 찾고 있다”고 전했다.
/박건기자 90virus@